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s in the Teaching Profession for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4.07
40P 미리보기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교원교육 / 30권 / 3호 / 73 ~ 112페이지
    · 저자명 : 노지영

    초록

    이 연구는 전남과 서울의 초등학교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교직적응 과정에서 겪는 갈등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들이 겪는 갈등의 원인을 분석함을 통해 교직초기 교사들의 교직갈등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서울과 전남 지역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특성상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나 교직 초기에 경험하는 교사의 주관적 인식과 갈등 과정에 대한 묘사를 통해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 틀을 형성하는 데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초임교사의 갈등원인을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 학교내부, 학교외부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갈등은 일반 조직의 신입사원이나 학교조직의 경력교사의 갈등과 차이점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fession conflicts of beginning teachers through analysis of aspects and meaning of conflicts. Objects of study limit membership to teachers who have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Seoul and Jeollanam-do.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mi-structural and non-structural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o preserve data with the interviewer's cons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as an individual. Beginning teachers have been confused about their identities, getting clothed with their responsibilities as teachers. The age gap of beginning teachers has been getting bigger and bigger since the unemployment crisis, moreover, each has different work experience, which is a struggle for beginning teachers. Furthermore, over-concentration in workload due to gender gap is another aspect.
    Second,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as a school system. Beginning teachers have been confused with the changing school system according to each principal’s standards. Also, they feel contradiction to teaching-learning system that is assessment-oriented. In addition, they suffer from assignments and over-concentrated workloads which lack structured principals, yet each are sensitive to rumors and to the watchful eye of senior teachers.
    Third, teaching profession conflicts off-campus. Beginning teachers have scrupl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of students and themselves. Particularly, beginning teachers who work in schools which are not economically, culturally, or socially advanced undergo all sorts of hardships from impolite parents of students. Meanwhile, their dwellings undergo a change according to their working conditions. The beginning teachers who get assigned to agricultural, mountainous, and fishing villages, have to live in official residences. However, beginning teachers, who get assigned to cities, go through financial difficulties as well. Even though they are in different difficult situations, but both experience dwelling conflict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conflicts end up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organization. Second,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conflicts originate from simultaneously entering into relationships with various types of and social levels of people in schools. Third, problems that beginning teachers go through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the social climate in which women have hardships in the work field. Fourth, the conflict of the age gap of beginning teachers getting broader and their work experiences becoming more diverse is related to a mocro-societal crisis involving the current unemployment crisis. Fifth are the various informal group structures in schools. Sixth, teachers in Seoul and Jeollanam-do have experienced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