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담사의 범죄경력 가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ounselors' experiences working with ex-offenders and famili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4.08
17P 미리보기
상담사의 범죄경력 가족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안전문화연구 / 33호 / 85 ~ 101페이지
    · 저자명 : 김수림, 배미희, 최현숙, 김양옥

    초록

    본 연구는 2022년~2023년까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경기지부에서 실시되었던 ‘가족심리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문상담사들의 상담 경험을 통해 전문상담사의 시각에서 느낀 사업의 개선점과 보완점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대학교 소속으로 참여한 전문상담사 6명 중 1명을 제외한 5명의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참여자의 체험을 구조적․주체적인 측면에서 반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2022년~2023년까지 연구 참여자들이 진행한 28개 사례의 총 633회기의 상담에 대한 내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의미들을 규정하는데 적합한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7개의 의미단위들을 도출하였고, 이를 상위 개념인 12개의 구성요소로 묶고 다시 5개로 범주화하였다. 범주1. ‘상담 참여 전 감정’은 ‘특수성을 가진 내담자에 대한 걱정과 궁금함’, ‘새로운 유형의 내담자에 대한 도전감’ 총 2개의 구성요소 별 각 3개, 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범주2. ‘어려움과 방해요인’은 ‘상담 과정에서 직면하는 한계’, ‘내담자의 불성실한 상담 참여 태도’, ‘가족 협조 및 지지 부족’, ‘내담자가 직면한 상황으로 인한 어려움’ 총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각 구성요소 별로 7개, 3개, 5개, 3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범주3.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감정’은 ‘상담 장면에서 느낀 감정’, ‘제도적 지원에 대한 고마움 및 아쉬움’, ‘공단 측 지원의 적극성’ 총 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각 구성요소 별로 9개, 2개, 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범주4. ‘긍정적 성과’는 ‘상담을 통한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 ‘상담사의 역량증진’ 총 2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각 구성요소 별로 7개, 3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범주5. ‘사업의 효과적인 개선 방향’은 ‘사업 및 상담 지원 영역’으로 총 1개의 구성요소와 7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가족심리지원사업’의 개선점과 보완점을 논의하고, 범죄경력자 및 가족에게 더 적합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및 제도적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Family Psychological Support Project conducted by the Gyeonggi Branch of the Korea Legal Protection and Welfare Corporation from 2022 to 2023, and to explore improvement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six counselors, five of whom were affiliated with Gyeonggi National University, and aimed to help provide more suitable and efficient programs and practical institutional support for criminal offenders and their families. The research method use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can reflectively analyz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terms of structure and subjectivity, and in the data analysis,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deeply explore the inner experience and define the meaning of a total of 633 consultations in 28 cases from 2022 to 2023.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57 semantic units were derived, which were grouped into 12 component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5 categories. Category 1. 'Feelings before participating in counseling' consisted of two components, 'Worry and curiosity about clients with special needs' and 'Challenging new types of clients', with three and two semantic units, respectively. Category 2. 'Difficulties and obstacles' consisted of four components: 'Limitations faced in the counseling process', 'Clients' insincere attitude to participate in counseling', 'Lack of family cooperation and support', and 'Difficulties due to the situation faced by the client', with seven, three, five, and three meaning units respectively. Category 3. 'Emotions felt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Emotions felt in the counseling scene', 'Gratitude and regret for institutional support', and 'Activeness of support from the industrial complex', with 9, 2, and 4 meaning units, respectively. Category 4. 'Positive outcomes' consisted of two components, 'Positive changes in clients through counseling' and 'Capacity enhancement of counselors', with 7 and 3 meaning units, respectively. Category 5. 'Effective improvement direction of business' is 'business and counseling support area', which has a total of 1 component and 7 meaning uni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s and deficiencies of the Family Psychological Support Project and made recommendations to provide more suitable and efficient programmes and practical institutional support for criminal offenders and their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안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