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Using Latent Profiles to Classify Acculturative Stress, Social Class, Career Supportive Behaviours i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Validat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hildr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5.01
12P 미리보기
잠재프로파일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계층, 진로지원 행동의 분류와 다문화가정 자녀가 느끼는 진로 장벽 요인 차이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1호 / 749 ~ 760페이지
    · 저자명 : 이창현, 최나연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이 몇 개의 잠재프로파일로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청소년이 경험하는 진로 장벽 문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실천적 및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연구 9차년도 자료(2021)를 사용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청소년 1,001쌍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은 참여자들을 공통의 특성을 지닌 여러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 등을 변수로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Mplus 8.3을 사용하여, 각 잠재프로파일의 특성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잠재프로파일에 속하는 청소년의 진로 장벽 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BCH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계층,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녀의 진로지원 행동 수준에 따라 6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이들 프로파일은 사회적 자원이 높은 그룹부터 낮은 그룹, 문화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그룹, 진로지원 행동이 활발한 그룹등 다양한 특성을 보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프로파일에 속하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진로 장벽 수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원이 낮고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어머니의 자녀들은 진로 장벽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다문화가정 어머니들도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들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거나 자녀의 진로지원을 충분히 하지 못한다고 보는 편견에서 벗어나, 이들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정책마련과 실천적 대안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 turation stress, and levels of career support behavior for their children can be categorized into latent profiles. By analyzing the sub-factors influencing these latent profiles, the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a reer barrier issue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nd adolescents and propose practical and poli cy-oriented alternative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ninth wave (2021)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ere used. A total of 1,001 pair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LPA is a useful method for categorizing participants into subgroups based on share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variables included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level of career support behavior for their childr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plus 8.3,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m. Furthermo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among adolescents belonging to each latent profile were analyzed using BCH difference testing.
    Results The analysis identified six latent profiles based on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cculturation stress, and levels of career support behavior. These profiles ranged from groups with high social resources to those with low resources, groups experien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with acculturation, and groups with active career sup port behaviors.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among adolescents belonging to each profile. Notably, children of mothers with low social resources and high acculturation stress tended to exhibit higher levels of career barriers.
    Conclusions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ubgroups,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 teristics is essential. It is important to move beyond the stereotype that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experience high acculturation stress or are insufficient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career development. Instead, the diver sity within these group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support strategies should be explored accordingly. These findings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ailored polici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hat addres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