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급문집 만들기 프로젝트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사진과 글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표현과 소통 (Lower-Elementary Children's Learning to Take Photographs and Write Texts in the Context of Making a Class Yearbook)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9.12
42P 미리보기
학급문집 만들기 프로젝트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사진과 글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표현과 소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학연구 / 36호 / 519 ~ 560페이지
    · 저자명 : 정현선

    초록

    이 논문은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1년간 수행된 초등학교 저학년(2학년) 어린이들의 매체 언어 학습의 결과를 다루고 있다. 일반 가정의 디지털 카메라 보유율이 65%를 넘어섰고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이 거의 100%에 이르는 현대 한국 사회의 미디어 환경에서, 사진은 글 다음으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표현 양식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표현 양식의 학습과 소통을 위한 매체 사용에 대한 학습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글을 통해 학급문집에 포함될 내용을 생산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디자인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디자인 연구’ 방법에 따라 계획되고 실행된 일련의 학습활동의 목표와 방법에 관해 논의하고, 학습자들의 결과물인 사진과 글을 학습자 및 연구 참여 교사의 인터뷰 및 학습의 기록을 위해 연구자가 찍은 수업 장면 사진과 더불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글쓰기에 대한 동기가 약하고 글쓰기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이라 하더라도, 한 해를 기억하기 위해 스스로가 필자와 독자가 되는 학급문집이라는 특별한 매체의 내용을 생산하는 과정을 통해 글쓰기의 동기가 부여되고 이를 바탕으로 쓰기 능력이 일부 향상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들이 카메라를 사용하여 친구들의 표정과 몸짓을 포착하고, 학교에서 즐긴 특별한 순간들을 기억하며, 친구와 교사에게 보여주고 싶은 자기 자신의 모습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바탕으로 한 내용 생성의 측면에서 글쓰기의 동기 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처럼 사진을 포함한 어린이들의 글은 사진 자체가 글의 중요한 일부가 되는 복합양식 텍스트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 연구 결과는 사진과 글이 서로를 보완하며 의미를 표현하는 복합 양식 텍스트 생산 교육이 표현 능력의 교육을 위해 국어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some of the findings from a year-long study of lower-elementary (2nd grade) children's media and multimodal literacy learning undertaken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the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where more than 65% of households own digital cameras and almost 100%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over the age of 6 use the Internet, photographs are reported to be the second most frequently used form of expression next to texts. Considering the long-term progression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fferent modes of expression such as photographs and writing and the role of media for communication, this study explores how young people might be able to learn how to take photographs and write texts in the context of producing contents for a ‘class yearbook’ that can be seen as a ‘medium’ for the classroom community to remember the people and what they did during the specific year. The discussion includes the pedagogic intentions of the ‘design’ of a serie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developed in this ‘design experiment’ research method, as well as the results including the children's photographs and writing as the learning outcomes, the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 teacher participated, and the photographs of classroom activities taken by the researcher for pedagogic documentation. The study shows children with low interests and skills in writing seem to be motivated to write texts and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when they are encouraged to produce contents for a specific medium of ‘class yearbook’, which is to be written and kept by themselves for the memory of the school year. Children seem to be able to create the ideas and feeling more genuinely and easily when they are allowed to use the cameras to capture the particular facial expressions or gestures of their friends;remember special events that they enjoyed at school;and the moments of their choice that they want to show about themselves. The photographs taken as such seem to become important integral parts of the children's writings that can be seen as a multimodal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