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1.05
17P 미리보기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10호 / 875 ~ 891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홍지영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학습경험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은 7개의 영역, 10개의 범주, 22개의 하위범주, 66개의핵심개념으로 추출되었다. 주요 범주를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면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의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진로인식의 변화는 ‘진로와 일에 대한 새로운 자각이 생김’이었고 인지적 체험은 ‘직업정보와 미래사회변화에 대한정보를 알게됨’과 ‘자신의 특성에 대해 이해함’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체험으로는 ‘재미와 의미가 있는 도전을 경험함’, ‘평가의 압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진로 학습경험을 함’이었다. 진로선택에 미친 영향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결정을하게 됨’이었고 진로행동에 미친 영향은 ‘진로준비행동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김’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의 전이로는 ‘진로체험활동경험이 확장됨’이 확인되었고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바람은 ‘학생들의 관심사, 미래전망, 정보탐색의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기획과 운영이 요구됨’, ‘인프라 확충과 성과 확인을 통해 효과적인 진로체험활동이 강화되기를 바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첫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의 진로체험활동에 참여한 중학생들은 진로문제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자각하고 직업세계와 자기자신에 대한 인지적 체험을 통해 진로관련 정보를 탐색하고 이해했으며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과 실행이라는 일련의 진로의사결정과정을 학습하고 체험했음이 밝혀졌다. 둘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의 진로체험활동은 재미와 의미있는 활동으로 학생들이 평가의 압력에서 벗어나 진로를 찾는 새로운 학습경험이었으며 이러한 학습경험은 새로운 학습과 여가활동으로 확정되고 전이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진로체험활동에 대한 보완점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year system.
    Methods To this end, 18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ere interviewed by the focus group and analyzed the data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participating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ere extracted into seven areas, 10 categories, 22 subcategories, and 66 core concepts. Looking at the results, focusing on major categories, the change in career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career activities was “new awareness of career and work,” and cognitive experiences were “knowing job information and future social changes.” Emotional experiences included “experiencing challenges with fun and meaning” and “taking a new career learning experience free from the pressure of evaluation.” The impact on career choice was “making specific decisions based on an under standing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impact on career behavior was “planning and implementing career-jun flight.” The transfer of learning experiences was confirmed as “career experience experience expanded,” and the desire for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was “required to plan and operat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future prospects, an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exploration.” Conclusion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and free school year were aware of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career problems, explored and understood career information through cognitive experience in the world and themselves, and learned and experienced a series of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Second,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were fun and meaningful activities, and it was confirmed and transferred to new learning and leisure activities by students. Third, the complementary points for the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free school year system were ident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