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엽 靑山島鎭의 재편과 해양방어체제의 변화 (A study on reorganization of Cheongsandojin and changes of marine defense system on late 19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7.11
31P 미리보기
19세기 말엽 靑山島鎭의 재편과 해양방어체제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0권 / 2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김경옥

    초록

    이 연구는 19세기 후반 전라도 강진현 청산도 수군진의 해양방어체제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특히 근대 이전 이양선 출몰로 인한 전라도 강진현과 흥양현의 수군진 편제변화에 주목하였다.
    전라도 강진현 청산도에 수군이 파견된 것은 조선 숙종 때이다. 당시 병조판서 민유중(1630~1687)이 三南의 요해처로 강진현을 지목하였다. 그리하여 1681년에 강진현의 부속도서인 고금도․청산도․신지도에 각각 수군이 배치되었다. 즉 내륙 연안에 위치한 고금도와 신지도에 僉使와 萬戶가 파견되었고, 먼 바다에 입지한 청산도에 別將을 주둔시켜 바닷길을 감시하도록 하였다. 즉 고금도에 水軍僉使鎭, 신지도에 水軍萬戶鎭, 청산도에 水軍別將鎭이 각각 설치된 것이다. 이들 수군진의 기능은 남해안의 해양방어와 부속도서 주민들에 대한 人口와 賦稅를 관리하였다.
    그 후 19세기에 이조판서 이재원(1831~1891)이 청산도에 수군첨사진 설치를 제안하였다. 또 수군진 운영에 필요한 재정은 자신의 직계 선조들에 의해서 누대로 관리해왔던 청산도 宮房田을 公錢으로 전환하여 해결하자고 상소하였다. 이처럼 이조판서 이재원이 자신의 문중재산을 희사하면서까지 청산도에 수군진 복설을 주장한 것은 당시 조선 해역으로 몰려왔던 이양선 때문이었다. 그 결과 1866년에 청산도 첨사진이 설치되면서 남해안의 해양방어체제가 재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85년에 영국인들이 조선 해역으로 출몰하더니 급기야 바닷길을 염탐하고 해저를 측량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영국이 흥양현의 부속도서인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그 이유는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서였다.
    1887년에 조선정부는 거문도에 수군진 설치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당시 흥양현 거문도는 수군진을 운영할 만한 경제적 기반을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반면 강진현 청산도는 토지와 인구를 고루 구비하고 있었다. 이에 전라감사가 대안을 제시하였는데, ‘風化節(3월~8월)에는 거문도진에서 해양을 방비하고, 風高節(9월~2월)에는 청산도진에서 대응하도록 한다.’라는 이원체제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19세기 후반 이양선의 출몰로 인한 전라도 남해안 수군진의 편제변화를 재구성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rine defense system of Southern coast of Jeollado in late 19th century.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reorganization process of marine defense system focusing on Cheongsan island(靑山島), Gangjin-hyeon(康津縣) and Geomun island(巨門島), Heungyang-hyeon(興陽縣).
    It was during King Sukjong(肅宗) of Joseon Period when naval force was dispatched to Cheongsan island of Gangjin-hyeon, Jeolla-do. Min You-Joong( 1630~1687), the minister of war pointed Gangjin-hyeon as the fortress for the Southern coast. Thus, Gogeum island(古今島), Cheongsan island, and Sinji island(薪智島) annexed to Gangjin-hyeon in 1681 were installed with naval base. Cheomsajin(僉使鎭) and Manhojin(萬戶鎭) was each installed to Gogeum island and Sinji island, and special force was dispatched to Cheongsan island, located outward and was given a task to monitor the sea route. As the result, Cheongsan island degenerated into an island managing taxation of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as an island with naval force.
    It was Lee Jae Won(1831-1891), the minister of interior during King Gojong(高宗) who proposed to reorganize naval base at Cheongsan island. He was the talented of JeonJu Lee‘s family who suggested installing naval base on the island instead of converting the land tax of the island to public funds. It was due to frequent appearance of hand over lines toward Joseon seas. Thus, the Cheomsandojin was installed in Cheongsan island in 1866, and reorganized the marine defense system of Southern coast. Then, when British ship swarmed into Joseon in 1885 to spy on sea route and measure the submarine, in the end, they occupied Geomun island of Heungyang-hyeon, which they called "Hamilton". The reason that the British occupied the island was to resist the southward of Russian. Due to such reason, Geomun island became a critical island directly related to sovereignty of Joseon at the late 19th century. Therefore, Joseon government established a plan to install naval base at Geomun island in 1887. However, the island did not have sufficient economic basis to operate naval base, but Cheongsan island both had land and population. Thus, Jeolla governor suggested a countermeasure, which proposed a dual system to defend the ocean from Geomundojin(巨門島鎭) in Punghuajeol(風化節), and to respond from Cheongsandojin in Punggojeol(風高節). Based on the system, the function of Jeolla-do naval base in 19th century was reorganized from macroscopic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