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토 진사이의 실학 -다원성과 일상성의 사상 (Itō Jinsai' Silhak-the Thought of Pluralism and Dailines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이토 진사이의 실학 -다원성과 일상성의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34호 / 95 ~ 125페이지
    · 저자명 : 선지수

    초록

    이 논문은 일본의 초기 실학을 대표하는 학자인 이토 진사이의 실학적 면모를 살펴보는 글이다. 진사이는 ‘實德’, ‘實理’, ‘實心’, ‘實學’ 등의 용어를 자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말로써 표현하고자 한 진사이의 실학적 특성은 조선이나 중국의 초기실학과 공통된 부분이 있으면서도 독자적인 성격을 가진다.
    진사이는 젊은 날의 경험을 통해 사람은 상대방의 내적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단절된 존재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을 생각하는 자연스러운 감정에 의해 ‘갈등’이 일어나기 쉽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개인의 도덕적 문제가 아니라 복수의 사람들이 자연적인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가운데 항상적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정치적 사태로 인식하였다. 진사이는 그 해결책으로써 내 마음 속에서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의식화, 현재화하는 ‘恕’에 의해, 그리고 의지적 노력을 필요로 하는 붕우의 ‘信’을 기초로 하여 행위함으로써 인간세계가 항상적으로 유지되며 人義가 실현되는 이상적인 세계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진사이는 사람에게는 다양한 입장과 관점이 존재하고 단절된 상태에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세계에 관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道를 통해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이 통일된 가치추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이 지닌 다원성, 차이성과 복수성의 가치를 담보하면서 그 위에서 바람직한 관계상을 구축하는 것이다.
    진사이는 道, 德, 敎에 대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관계를 맺고 소통하며 살아가는 일상 세계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그 안에서 실제적인 효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진사이의 학문 및 일본적인 유학의 이해에서 조선이나 중국과는 또 다른 유학의 기능 및 실학의 속성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Japanese remarkable scholar, Itō Jinsai. Jinsai frequently used the terms “true virtue(實德)”, “true reason(實理)”, “true mind(實心)”, and “true learning(實學)”, and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Jinsai to be expressed by these words have common features to those of Joseon or China’s early studies, but it has originality.
    Jinsai deeply recognized that human beings by its very nature are disconnected in the sense that they cannot understand the inner world of the other person; nevertheless naturally consider feelings of the other person through his experience of youth. And this “conflict” is not a moral issue of an individual, but a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that always occurs in the course of a natural community life.
    Jinsai found the solution to this, by “forgiveness(恕)” consciousness of others in my mind, and acting on the basis of the “faith(信)” of consciousness and we could approach the ideal world where our world is homeostatic and humanity and justice is realized.
    On the other hand, Jinsai suggested the possibilities of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same world by “tao(道)”, even though humans have various stances and perspectives and they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is is not a pursuit of the unified value, but building desirable relationship among humans to assure value of pluralism, difference and multiplicity.
    Jinsai understanded “tao(道)”, “virtue(德)”, and “teachings(敎)” are inseparable to the everyday world in which various people make connection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extension, prove realistic usefulness.
    In its analysis in Jinsai’s work of scholarship and Japanese Confucianism, we can find the other role of Confucianism and features of Silhak different from Korea or Chin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