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평안감영 외관직 복식 고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안감사향연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External Officers' Costumes of Pyeongan Gamyeong in the Late 18th Century: Focusing on the Welcoming Banquet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평안감영 외관직 복식 고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안감사향연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7권 / 2호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김미경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유물자료 등을 활용하여 18세기 후반 평안감영의 외관직의 각 관원별 역할과 복식 구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외관직인 감사, 중군, 도사, 심약⋅검률⋅계사, 그리고 비장을 포함하였다. 평안감사는 평안도의 행정, 사법, 군사 등을 담당하였고, 중군은 도의 군사업무를 관장하고 치안을 담당하였다. 도사는 감사를 보좌하고 감사 유고시에는 감사를 대행하여 한 도를 관장하였다. 심약과 검률은 취재에서 차점을 받을 경우 지방에 파견되었으며, 심약은 약재 진상 등을 담당하였고, 검률은 감사의 법률 보좌관이었다. 계사는 평양감영에만 파견된 외관직이었다. 심약과 검률, 계사는 무록관이었으나, 감영으로부터 생활에 필요한 물품이나 급료, 의자가 등을 지급받았다. 인궤, 좌차 등을 기반으로 부벽루 바깥에 마련된 장막의 짙은 색 철릭 차림은 감영의 중군으로 보았고 서쪽에 앉아 있는 관원은 종5품의 도사로 추정하였다. 연광정 서편 행랑 쪽에 녹포 차림의 토관들 앞 줄에 서 있는 관원은 심약과 검률, 계사로 추정하였다. 평안감사는 옥정자 주립, 밀화영, 남색 철릭에 홍색 광다회를 하고 있었고, 도사는 흑립, 청색 철릭, 청색 광다회를 하고 있었다. 중군은 이 흑립에 짙은 색상의 철릭 차림을 한 것은 평상시 입는 상복으로서의 철릭 차림을 한 것으로 보았으며, 중군은 금이나 은정자 장식을 한 마미립이나 종립을 하고 옥이나 산호영자를 사용한 것으로 보았다. 중군의 짙은 색 철릭은 감다할 색 철릭으로 철릭 겉감에는 문양이 시문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감영 비장 중 전배비장은 흑립에 호수입식을 하고 남색철릭과 홍색 광다회를 하고 동개를 갖추고 있었으며, 후배비장은 호수입식의 흑립에 청색 또는 흑색 철릭과 청색 광다회, 패검을 하고 있었다. 협수와 전복을 입은 비장은 호수를 꽂지 않은 흑립을 쓰고, 협수 위에는 흑색 또는 청색 전복을 입고 있었으며, 허리에는 청색 광다회 또는 흑색 세조대를 두르고 있었다. 평안감영의 비장은 허리에 전령패를 차고 있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role and clothing composition of the external officers of Pyeongan Gamyeong in the late 18th century were examined using literary data, previous research, and relic data. The study subjects included Gamsa, Junggun, Dosa, Simyak, Geomryul, Gyesa, and Bijang. The Pyeongan Gamsa was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affairs of Pyeongan Province, and the Junggun was in charge of the province`s military affairs and public security. The Dosa assisted the Gamsa and took charge of the province on his behalf in the event of the Gamsa's death. Simyak and Geomlyul were dispatched to local areas if they received the second-highest score in Chwijae. Simyak was in charge of information on medicinal ingredients, and Geomryul was the Gamsa`s legal assistant. The Gyesa was an external officer dispatched only to the Pyeongan Gamyong. Although the Simyak, Geomryul, and Gyesa were Murokgwan, they received supplies, wages, and clothing allowance from Gamyeong. The Junggun of Gamyeong wore the dark-colored Cheolrik of the tent prepared outside Bubyeoklu, based on the Ingwe and Jwacha, and the official sitting to the west was presumed to be a Dosa. The officials standing before the Togwan wearing Nokpo on the west side of Yeongwangjeong were supposed to be Simyak, Geomryul, and Gyesa. The Pyeongan-Gamsa wore Okjeongja, Julip, Milhwayeong, indigo Cheolrik, and red Doa, while the Dosa wore Heuklip, blue Cheolrik, and blue Doa. It is believed that Junggun decorated the Mamilip or Jonglip with gold or silver Jeongja and used jade or coral Yeongja. The dark-colored Cheolrik of the Junggun was thought to have been made of Gamdahalsaek Cheolrik, with patterns engraved on the outer fabric. Among the Gamyeong Bijang, the Jeonbae-Bijang had a Heuklip with a Hosu, navy blue Cheolrik, red Doa, and a Donggae, while the Hubae-Bijang had a Heuklip with a Hosu, blue or black Cheolrik, blue Doa, and a Paegeom. The Bijang wearing a Hyeopsu and Jeonbok had a Heuklip with a Hosu, a black or blue Jeonbok was worn over the Hyeopsu, and a blue Doa or black Sejodae was worn around the waist. The Bijang of Pyeongan Gamyeong wore a Jeonlyeongpae on his wa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