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중반 金直淵의 燕行과 청 정세 인식 (Kim Jik-Yeon's Diplomatic Mission to Qing China and His Views on the Situation of China (in the mid-19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2.09
32P 미리보기
19세기 중반 金直淵의 燕行과 청 정세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9호 / 245 ~ 276페이지
    · 저자명 : 노대환

    초록

    金直淵(1811~1884)은 1858년(철종 9) 10월부터 1859년 3월까지 서장관으로연행하여 중국을 돌아보고 왔다. 김직연이 연행했던 때는 청이 태평천국군을 비롯한각종 賊匪의 준동과 서양 세력의 침략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때문에사행사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였는데 김직연은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김직연은 여러 경로를 통해 청의 정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비의 동향이나 서양 세력의 움직임 모두 심상치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적비와 관련해서는 민인에 대한 과도한 수취와 滿漢 차별정책 등으로 인해 적비가 양산되는 상황에주목하였다. 적비에 대한 소식은 사행편에 계속 전달되고 있었지만 김직연처럼 적비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인물은 드물었다. 한편 서양 세력의 움직임에 대해서는청이 서양 세력의 무력에 굴복하여 개시를 허락한 사실과 러시아가 영토 문제로 분란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 등을 파악하였다. 1850년대에는 적비 문제에 가려 조선내에서 서양 세력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는데 김직연은 최신의 정보를소개하여 서양 세력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중국을 돌아본 김직연이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청의 허약성이었다. 그는 재정부족과 관리들의 탐학 등으로 인해 청이 앞날을 점칠 수 없을 정도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 청이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혁신을 주도할 인물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인물이 없어 혁신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조선 정부는 제1차 중․영전쟁에서 청이 패한 이후에도 청조의 힘을 신뢰하여 청에 의존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었다. 김직연이 견문한 내용은 청의 실체를 정확히파악한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였다. 정부에서 김직연이 보고한 사실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이를 참고하여 이후 청의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였다면 대외 정책의 변화를 기대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김직연의 연행 경험은 아쉽게도 전혀 정책에 활용되지 못하고 말았다.

    영어초록

    Kim Jik-yeon traveled China as seojanggwan (a document officer) from October, 1858 to March, 1859, during which the Qing Dynasty was having considerable difficulty due to the activities of all kinds of rebels including Taiping Rebellion Army and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 It was a time when the roles of sahaengsa (an ambassador) were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ime. Kim Jik-yeon performed his duties sincerely.
    Kim tried to figure out the situations of the Qing Dynasty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found out that the movements of rebels and Western force were unusual. He focused on the circumstances around rebels emerging in large numbers due to the excessive exploitation of general populace and the discriminating policies against certain ethnic groups. News about rebels were continuously reported to the Joseon Government by several ambassadors, but no one examined the issues of rebels in a comprehensive manner like him.
    He also observed that the Qing Dynasty gave in to the military power of Western force and opened its market to them and that Russia caused conflict over territory issues. In the 1850s, Joseon politicians paid not enough attention to Western force, being overwhelmed by the issues of rebels. Kim warned them against the danger of Western force by introducing the latest situations.
    He felt the most serious about the vulnerability of the Qing Dynasty after traveling China and judged that Qing was in such a perilous situation due to lack of finance and tyranny of officials that it could not predict its future at all. He thought that those situations made it difficult for Qing to suppress the rebels properly. And, due to the same problems, Qing could only take a defensive attitude toward Western force, which thus continued to invade it.
    It was his opinion that Qing needed a figure that would lead reform to overcome the crises but had no such leader so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ct reform from Qing.
    The Joseon government stuck to its policy of trusting Qing's power and depending on it even after Qing lost in the First Chinese-British War. What Kim Jik-yeon saw and heard was very important in that it accurately observed the actual situations of Qing. If the Joseon government had carefully reviewed and consulted his reports and closely observed the situations of Qing, it would have changed its foreign policies earlier. It was unfortunate, however, that his experiences of traveling China were not used in policies at a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