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현대문학자의 식민지 지배인식 연구 -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의 『이조잔영(李朝残影)』, 『족보(族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Japanese contemporary writer’s awareness of the colonial rul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6.05
16P 미리보기
일본현대문학자의 식민지 지배인식 연구 -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의 『이조잔영(李朝残影)』, 『족보(族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근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근대학연구 / 52호 / 183 ~ 198페이지
    · 저자명 : 조미경

    초록

    본 논문은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가 식민지 조선을 배경으로 창작한 『이조잔영(李朝残影)』과 『족보(族譜)』라는 작품을 통해 전후(戰後) 일본현대문학자의 식민지지배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본의 본격적인 우경화와 더불어 역사수정주의에 근거하여 과거 일본이 일으킨 전쟁과 식민지지배를 다양한 방식으로 합리화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문학과 영화 등 예술분야에도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작품이 다수 창작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패전 이후 일본현대문학자들이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했는지, 그 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니고 패전 후 일본으로 돌아가 왕성한 문학 활동을 하였던 가지야마 도시유키(梶山季之)통해 전후 일본현대문학자의 식민지 지배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민지 조선을 배경으로 하여 3.1 독립운동 당시 제암리 학살사건과 1940년의 창씨개명(創氏改名) 문제를 전면적으로 다룬 위의 『이조잔영』, 『족보』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3.1 독립운동과 창씨개명에 대해 당시 식민지 조선에 거주하였던 일본인들의 인식과 이들 작품의 인식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식민지 조선에 거주하였던 일본인들은 전반적으로 3.1 독립운동과 창씨개명 문제를 일본의 식민지 지배 논리에 근거한 주장이 대부분이었지만 가지야마 도시유키의 작품들은 이러한 식민지 지배의 부당함을 고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따라서 가지야마 도시유키는 식민지 조선에서 다양한 체험을 통해 일본의 한국 지배를 고발하고 이를 전후 일본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이의 부당함을 알리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the awareness of colonial control by a Japanese contemporary writer Kajiyama Doshiyuki (梶山季之) after the war through his works ‘Yijojanyeong(李朝残影: The traces of Lee dynasty)’ and ‘Jokbo(族譜: The genealogy) which background settings are the colonized Joseon.
    After the mid 1990s, Japan has made diverse attempts to rationalize their past war and the colonial control based on the historical revisionism with full-fledged turning to the right side. Such tendency also has strongly influenced the field of art including literature and film, and many works reflecting this inclination are being created.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how contemporary Japanese writers specifically embodied the war and colonial control after they were defeated. As a part of tracing this process, I looked into Kajiyama Doshiyuki’s awareness of colonial control as a post-war contemporary Japanese writer who went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the colonized Joseon and returned to Japan after the defeat in war and then wrote many literatures.
    In this study, I analyzed ‘Yijojanyeong’ and ‘Jokbo’ which fully dealt with the Jeamri massacre during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st and the Name Changing Program in 1940 around the colonized Joseon and found some results. First,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awareness by the Japanese people who had lived in the colonized Joseon and the awareness in literatures abou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ame Changing Program. Second, the Japanese people who had lived in the colonized Joseon mostly had agreed on the logic of Japanese colonial control abou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Name Changing Program. However, the literatures by Kajiyama Doshiyuki accused the injustice of colonial control. Third, Kajiyama Doshiyuki tried to accuse the Japanese colonization based on his diverse experiences in the colonized Joseon and actively let the Japanese people know about such injustice after th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근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