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지(the Commons), 문명사 전환의 키워드 (The Commons, A Keyword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3.12
39P 미리보기
공유지(the Commons), 문명사 전환의 키워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생태환경과 역사 / 11호 / 149 ~ 187페이지
    · 저자명 : 오항녕

    초록

    필자는 공유지가 사유재산과 대비된다고 생각한다. 사유재산이나 국유재산처럼 처분 가능한 소유와는 대척에 있는 개념이 공유지이다. 19세기 이래 문명의 파탄은 곧 사적 소유에 기초한 자본주의의 귀결이라는 점에서 현재 인간이 부딪히고 있는 문제의 핵심 주제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자본주의 문명이 초래한 생태환경의 위기를 공유지의 소멸로 보고, 새로운 문명사로의 전환을 위한 단서를 찾고자 공유지의 역사적 경험과 현실을 살펴보았다.
    동아시아에서 맹자(孟子)는 여민동지 사상을 통해 문화, 생리, 경제, 정치 등 다양한 차원에서 국가와 인민 사이의 균형점을 모색하였다. 그 기초는 종족과 경제의 재생산이 가능한 가족의 유지, 그리고 그 노동에 기반을 둔 농민공동체의 안정성이었다. 동산[囿], 산림(山林), 습지[汚池] 같은 공유지는 농민에게 고기, 버섯, 나물, 땔감 등 생계 자원이자 나들이와 놀이의 공간이었다.
    이런 전통은 영국의 마그나카르타, 독일 튀빙겐의 협약 뿐 아니라, 조선의 경제 정책에서도 발견된다. 공유지는 부세제도, 소유권, 나아가 공동체의 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생활 조건이자, 문화를 형성하는 주요 요건이었다.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의 역사적 성격은 처음으로 사적 소유를 공유지와 적대적으로 만들었고, 끊임없이 공유지를 잠식한다는 데 있다. 그것도 세계적 규모로.
    임금노동의 창출이라는 본원적 자본 축적은 공유지의 파괴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공유지의 파괴는 삶의 현장의 파괴와 문화의 타락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생태환경의 파괴를 야기했다. 이런 현실은 인류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따라서 공유지에 대한 재의는 문명사의 키워드 중 하나가 된다.

    영어초록

    I think the commons contrasts with private property. The commons is a concept that is opposite to ownership that means the right of disposition, such as private property and state property. I also think the collapse of civilization since the 19th century is a key topic of the problems that humans are facing now in that it is the result of capitalism based on private ownership.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reality of the commons to see the crisis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caused by capitalist civilization as the disappearance of the commons and to find clues for the transition to a new civilization.
    In East Asia, Mencius mentioned several levels of welfare, which could be accomplished in sphere of culture, economy, physiology and politics through the sharing-with-the-people. The basis of the welfare might be the stability of the peasant community based on family-labour. The hill, forest, pond, river and mud-flat were the sources for living and playground of people. At the ag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se spaces were changed into the forbidden land and the people who used them timely lost their acquainted places.
    The idea of Mencious was found in the economic policies of Joseon, as well as in the agreements of Magna Carta in Britain and Die Vertrag of Tübingen, Germany. The commons was a living condition defined by the relationship of the tax system, ownership, and even community, and a major requirement for forming cultures. The historical nature of capitalist private ownership lies in the fact that for the first time private ownership was made hostile to the commons, and it constantly eroded public lands on global scale; Indians in America, natives in Africa and India.
    The primitive accumulation of capital, so called the creation of wage-labor, was based on the destruction of the commons. The destruction of the commons was the destruction of the site of life and the degradation of culture. This was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Therefore, the reconsideration of the commons becomes one of the keywords of civilization history of civilization. This situation caused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태환경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