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두에서 만난 생명 - 잊혀진 배달농장 이야기 - (A Life met in Baotou: The Forgotten Story of the Baedal Far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6.02
34P 미리보기
포두에서 만난 생명 - 잊혀진 배달농장 이야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생명연구 / 39권 / 21 ~ 54페이지
    · 저자명 : 구미정

    초록

    평북 의주 출신의 유학자인 조병준은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여 서간도로 망명한다. 서간도 항일투쟁의 중핵으로 활동하다가 1923년 가족과 친지, 제자 등 80여 명을 인솔하여 내몽고로 향한다. 수원성 포두현에 배달농장을 세우고 임시정부를 후원하니, 그가 일군 한인촌은 내몽고 항일운동의 거점이 되었다.
    일제의 대륙침략과 더불어 한인촌은 해체 위기에 놓였다. 떠나지 않고 남아있던 한인들도 광복을 맞아 환국했다. 그러나 조병준의 아우 조병섭의 집안은 우환이 있어 움직일 수 없었다. 그러다가 한국전쟁이 터지고 남북분단이 고착되었다. 환국의 타이밍을 잡지 못한 이 가족은 결국 4대째 그곳에 발이 묶이고 말았다.
    이 글은 내몽고자치구 포두에서 만난 조병섭의 증손 조립신 씨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그의 존재론적 좌표를 더듬는다. 한족에 이어 몽고족이 대다수인 그 지역에서 유일한 ‘조선족’으로 살아가는, 자신의 ‘거기-있음’을 설명할 언어가 부재한 그의 비극적 상황이 이 글을 쓰게 된 주요 동기다. 그곳에 홀로 낙오된 채 조상의 역사와 조국의 관심으로부터 유리된 그의 실존은 ‘벌거벗은 생명’의 한 유형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Byeong-jun Cho, the Confucian scholar born in Uiju, Pyeonanbukdo province, went to West-Gando near the Korean border as an exile after the annexation in 1910. He moved to Neimenggu(inner Mongolia) with his family, relatives and followers in 1923 when he resigned at the age of 61 as a leader of an anti-Japanese nationalist group in Manchuria. He started to build up the Baedal Farm at Baotou in Neimenggu and supported the Republic of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in its demand for maintaining fund.
    The Baedal Farm was came to break up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in 1937. Many Koreans returned peri passu with the Liberation in 1945 except the family of Byeong-sup Cho, the younger brother of Byeong-jun Cho. As time goes by, it was getting difficult to catch the right chance to return to Korea because of the Korean War and the divis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so that this family was fixed in that strange land for the 4th generation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ontological position of Lip-sin Cho who is a great-grandchild of Byeong-sup Cho and still lives in Baotou. His tragic situation existing alone as 'Chosun jok' there and not-having the memory to explain why he lives 'there not here' challenged the author to write this article. His existence reveals 'the naked life' removing from the homeland's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