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할 창조를 위한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가꾸로 가는 리어≫의 ‘아버지’(리어)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reation Method of Characterization -Focus on the Character of 'Lear' in ≪Lear in Rever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1.06
30P 미리보기
역할 창조를 위한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가꾸로 가는 리어≫의 ‘아버지’(리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교육연구 / 1권 / 18호 / 39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철홍

    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to display the method of characterization utilizing the character of Lear (Lear in Reverse) as a model, aiming general at the creation method of characterization in plays. I searched the practical concept of characterization through my own personal experiences. I was a 30-year-old man, who had to act almost a 60-year-old 'Lear', that gave me some difficulties. I started this article with my exercises, which I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age difference within the character at that point.
    First, I observed men in their 60s, which I could combine for the physical features acceptable as a father figure. I tried to approach the character with the concept that characterization means proper physical expressions and movements.
    In my judgement, Maximization of the typical personality which is inherent as one part of mine own. So, I focussed on transforming my inherent personality to Lear's main features, and harmonizing it with the rest of the elements and details of the character. Repeated hard training forced willingly by myself was followed to obtain my goal.
    Actors are to create, analyse and search their roles through their own specific creative ways. That is true. But unfortunately, in Korea, the actors' creative methods have not been fully introduced enough. And that has caused the lack of discuss on this approach of character work. This article is meaningful at this point, so that it can be a path for the next wave of new actors and the further study on stage acting.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written to display the method of characterization utilizing the character of Lear (Lear in Reverse) as a model, aiming general at the creation method of characterization in plays. I searched the practical concept of characterization through my own personal experiences. I was a 30-year-old man, who had to act almost a 60-year-old 'Lear', that gave me some difficulties. I started this article with my exercises, which I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age difference within the character at that point.
    First, I observed men in their 60s, which I could combine for the physical features acceptable as a father figure. I tried to approach the character with the concept that characterization means proper physical expressions and movements.
    In my judgement, Maximization of the typical personality which is inherent as one part of mine own. So, I focussed on transforming my inherent personality to Lear's main features, and harmonizing it with the rest of the elements and details of the character. Repeated hard training forced willingly by myself was followed to obtain my goal.
    Actors are to create, analyse and search their roles through their own specific creative ways. That is true. But unfortunately, in Korea, the actors' creative methods have not been fully introduced enough. And that has caused the lack of discuss on this approach of character work. This article is meaningful at this point, so that it can be a path for the next wave of new actors and the further study on stage ac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