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녀 됨에 관한 자문화교육기술지: 모녀의 일기를 중심으로 (Autoeducography on being the First Daughter: Centered on the Dairies of a Mother and a Daughter)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7.12
47P 미리보기
장녀 됨에 관한 자문화교육기술지: 모녀의 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 / 20권 / 4호 / 305 ~ 351페이지
    · 저자명 : 이은지

    초록

    이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장녀 됨에 단초가 된 담론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함으로써 여성이 성차별에 크게 노출되는 관계가 가족 내부임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성차별을 그대로 답습하는 문화화 “된” 나가 아닌 기존의 체제에 대한 반성 속에서 문화화 “하는” 나를 교육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한 자문화교육기술지(auto educo-graphy)이다. 이 연구에서 나는 장녀 됨을 강조하는 문화적 틀에 거리 두기를 하는 것이 아닌, 자기분석을 통해 선지식과 선경험을 깊이 있게 직관함으로써 문화적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즉, 장녀 됨에 대한 의식을 확장하여 세계를 이전과는 다르게 지각하는 힘은 문화가 아닌 나에게 있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체험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일기라는 자전적 자료를 활용했다. 일기 자료는 엄마의 육아일기, 연구자의 6년간의 일기, 엄마의 편지식 일기의 세 유형을 활용해 엄마가 첫 자녀로써 딸을 가지게 된 순간의 기록부터 남동생이 태어난 후로의 8년 후까지의 과정을 연행적으로 기술했다. 연구 결과 장녀 됨의 체험은 예비 누나(“동생은 꼭 남동생”), 일등 자식(“엄마 저만 믿으세요”), 작은 엄마(“은지의 육아일기”), 딸이니까(“항상 아들인 제홍이”)로 주제화되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장녀 됨을 성찰하는 과정은 ‘순응: “장녀”라는 호명과의 동일시’, ‘저항: 길들여짐에 대한 내면적 불편함’, ‘물음: 진정한 나 자신이 되려면?’으로 이어졌다. 이 연구는 엄마의 삶에 영향을 미친 가족 이데올로기가 딸(여성)의 장녀 됨을 재생산하고 있으며, 고정된 남성·여성 이미지가 아들(남성)에게까지 폭력으로 다가옴을 드러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성차별이 인간 차별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in a family relationship where women are heavily exposed to gender discrimination by identifying the discourses and ideologies that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writer being the first daughter. And it is an autoeducography which was intended to restructure myself who “enculturates” by reflecting on the existing system, not myself who “is enculturated” by simply following the practice of gender discrimination. The writer became free from cultural oppression through self-reflection of deeply intuitive preconceptions and experiences, not by distancing oneself from the cultural framework that emphasizes the status of being the eldest daughter. In other words, the power to perceive the world differently by extending the consciousness of being the eldest daughter is found within oneself, not in the culture. This study utilized the autobiographical data of diary as a way to expose the writer’s own experiences. The diary is a chronological depiction of the events between mother’s conception of the daughter as first child and eight years after the birth of younger brother. It is a collection of records from the baby book, the writer’s diary for six years and mother’s diary in letter format. Through this research, the experience of being the eldest daughter was topicalized under the following headings: Preparing to be the older sister (“Younger one has to be a brother”); Best child (“You can count on me mother”); Second mother (“Eun-ji’s baby book”); and Because you are a daughter (“Jae-hong is always the son”). The reflection on being the eldest daughter then continued under: ‘Conformity: equate to the title as the eldest daughter’; ‘Resistance: inner discomfort towards conformity’; and ‘Questioning: how to be myself’. This study shows that the family ideology that affected the mother’s life then continues to reproduce the image for the eldest daughter in the daughter’s (female) life. It is also revealed that fixed imagery of men and women also confronts the son (male) as a form of violence. Moreover, it was argued that gender discrimination then could also lead to discrimination of humans in broader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인류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