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톨로지 기반의 사용자 의도를 고려한 맞춤형 검색 서비스 (Ontology-based User Customized Search Service Considering User Intention)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2.12
15P 미리보기
온톨로지 기반의 사용자 의도를 고려한 맞춤형 검색 서비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18권 / 4호 / 129 ~ 143페이지
    · 저자명 : 김수경, 김건우

    초록

    웹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기업들이 관리해야 하는 정보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와 더불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기 위한 검색 엔진 솔루션 시장의 규모도 더불어 크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검색엔진들은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들을 반환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까지는 부가적인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중요 기술인 적합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재현율과 정확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검색어의 재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유사어 관계 확장을 위한 온톨로지 스키마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추론을 통해 검색어의 확장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검색어들을 이용하여 문서 검색을 하기 위한 다단계 유사도 검색 순위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설계된 온톨로지 스키마와 온톨로지 저장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론과 유사도 검색 순위화 엔진이 포함된 웹사이트 형식의 사용자 의도 적응형 검색 솔루션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검색 솔루션을 통해 다양한 검색어를 입력하여 제안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고 사용자 의도를 고려한 맞춤형 검색 솔루션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the rapid progress of a number of standardized web technologies and the proliferation of web users in the world bring an explosive increase of producing and consuming information documents on the web. In addition, most companies have produced, shared, and managed a huge number of information documents that are needed to perform their businesses. They also have discretionally raked, stored and managed a number of web documents published on the web for their business. Along with this increase of information documents that should be managed in the companies, the need of a solution to locate information documents more accurately among a huge number of information sources have increase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 of accurate search, the market size of search engine solution market is becoming increasingly expended.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ity among much functionality provided by search engine is to locate accurate information documents from a huge information sources. The major metric to evaluate the accuracy of search engine is relevance that consists of two measures, precision and recall. Precision is thought of as a measure of exactness, that is, what percentage of information considered as true answer are actually such, whereas recall is a measure of completeness, that is, what percentage of true answer are retrieved as such. These two measures can b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pplied domain. If we need to exhaustively search information such as patent documents and research papers,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rec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small scale, it is better to increase precision.
    Most of existing web search engines typically uses a keyword search method that returns web documents including keywords which correspond to search words entered by a user. This method has a virtue of locating all web documents quickly, even though many search words are inputted. However, this method has a fundamental imitation of not considering search intention of a user, thereby retrieving irrelevant results as well as relevant ones. Thus, it takes additional time and effort to set relevant ones out from all results returned by a search engine. That is, keyword search method can increase recall, while it is difficult to locate web documents which a user actually want to find because it does not provide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intention of a user and reflecting it to a progress of searching information.
    Thus, this research suggests a new method of combining ontology-based search solution with core search functionalities provided by existing search engine solutions. The method enables a search engine to provide optimal search results by inferenceing the search intention of a user. To that end, we build an ontology which contains concepts and relationships among them in a specific domain. The ontology is used to inference synonyms of a set of search keywords inputted by a user, thereby making the search intention of the user reflected into the progress of searching information more actively compared to existing search engines.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we implement a prototype search system and test the system in the patent domain where we experiment on searching relevant documents associated with a patent. The experiment shows that our system increases the both recall and precision in accuracy and augments the search productivity by using improved user interface that enables a user to interact with our search system effectively. In the future research, we will study a means of validating the better performance of our prototype system by comparing other search engine solution and will extend the applied domain into other domains for searching information such as por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