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구조분석 - 벽주건물지를 중심으로 - (Structural analysis of building site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3.10
28P 미리보기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구조분석 - 벽주건물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56호 / 143 ~ 170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숙, 천승현

    초록

    백제 웅진기 건물지는 지상식의 구조로 한성기 수혈건물지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백제 건물지의 형태와 변화, 그리고 문화기반의 변화상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건물지의 형상은 웅진기왕성인 공산성과 국가의례장소인 정지산유적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있으며, 건물지는 대부분 벽주건물지의 구조를 보인다.
    이에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구조분석을 위해 공산성과 정지산유적에서 확인된 건물지에 대하여 평면과 규모, 출입시설과 창호, 기둥배치와 벽체, 지붕형식, 생활면 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구조는 방형과 장방형의 평면을 보이며, 토목혼합벽체에 단실로 구성된 단칸건물의 형태로 판단된다. 규모는길이와 너비 모두 6m 내외이며, 측면확장이 이루어지면서 칸의 개념이 표현되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목조 가구기술이 발달하여건물지의 지상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백제 웅진기 건물지의 구조적 특징은 건물지 생활면의 지상화와 규모의 정형화, 그리고 목구조를 기초로 칸을 이루는 건물의공간구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building site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is different from the Hanseong period pit-house building site in that it has an above-ground structure, it is very important data in understanding the form and changes of the Baekje building site and the changes in the cultural base. The shape of the building site can be examined focusing on Gongsanseong Castle, a royal castle during the Ungjin period, and the ruins of Jeongjisan Mountain, a national ceremonial site, and most of the building site shows the structure of a Byeokju-building site.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ites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floor plan, scale, entrance facilities, windows, pillar arrangement, walls, roof type, and living aspects of the building sites identified at the Gongsanseong Castle and Jeongjisan Mountain ruins.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ite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shows a square and rectangular plane, and is judged to be a single-room building composed of a single room with a wall made of mixed mud & wood. The scale is about 6m in both length and width, and the concept of a compartment is believed to be expressed through side expansion,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development of wooden furniture technology and thus the stabilization of above-ground building site.
    Therefo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ite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can be understood as the above-ground of the living plane of the building site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scale, as well as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building with compartments based on wooden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