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고대 성곽문화의 결절지, 양주 (Yangju, A Critical Junction in Korea's Ancient Fortress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4
39P 미리보기
한국고대 성곽문화의 결절지, 양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74호 / 49 ~ 87페이지
    · 저자명 : 백종오

    초록

    이 글에서는 양주지역 성곽유적의 현황과 발굴조사를 개괄적으로 정리한 후 대모산성 발굴의 시대적 배경과 그 성과를 발굴보고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사적 검토를 진행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 고대 성곽문화의 결절지가 양주이며 이는 관방체계와 시기별 연용성 그리고 후삼국시대의 후고구려(태봉) 고고학을 주창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모산성은 일정한 시기에 토축성벽을 조성하였다가 또 일정 시기가 되면 석축성벽으로 전환 또는 치환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토축성벽에서 석축성벽으로의 변화가 신라인지, 통일신라인지, 나말여초기인지에 대해서는 문헌사료 및 고고자료의 재검토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즉 ‘築城設柵’의 주체가 4~5세기대 백제만이 아니고 5~6세기대 신라에도 해당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발굴유구와 출토유물, 층위관계 및 공반유물 등을 통한 정합관계를 통해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 보다 고고학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후고구려 고고학으로 구체성을 부여한 것은 현재까지의 출토유물이 통일신라시대로 보기에는 너무나 확연한 명문기와류 등의 문자자료들이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원형 석축 집수시설과 현문식 성문, 2차 성벽 등도 태봉국과 관련된 10세기 초반으로 편년된다. 또한 대모산성과 함께 태봉산보루, 독바위보루 등 양주지역의 보루들은 국적도 다르고 개성도 무척 강하기 때문에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등의 축성술과 출토유물들이 보다 선명하게 확인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한국고대 성곽문화의 조영원리와 시기별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데 매우 중요한 실증적 증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말해 한강유역과 임진강유역을 연결하는 결절지라는 지정학적 특성이 감안되어 남‧북의 성곽 문화, 동‧서의 성곽 문화가 이곳 각축장에서 새로운 패턴(pattern)과 양식으로 구현된다는 점도 학술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fortress ruins and excavations in the Yangju region, and then conducts a historical review of the excavation of Daemo Sanseong Fortress,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drop and results of the excavation report. In doing so, it examines Yangju as a junction of Korea's ancient fortress culture, exploring its integration with governmental defense systems and its significance for archaeological studies of Later-Goguryeo in the Later-Three Kingdoms Period.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Daemo Sanseong Fortress was constructed with an earthen wall at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converted or replaced with a stone wall lat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literary sources and archaeological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from earthen to stone walls occurred in Silla, Unified Silla, or the times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building fortress and defense wall’ includes not only Baekje Kingdom in the 4th-5th centuries, but also Silla Kingdom in the 5th-6th centuries. In this regard, it is thought to be more archaeological to strictly distinguish the times through the analysis of excavated artifacts, stratigraphic relationships, and relics that are suspected to be in the same times.
    The excavated relics had the specificity of Later-Goguryeo archaeology because they include character-inscribed roof tiles, which are too obvious a feature of Later-Goguryeo to be attributed to the Unified Silla period. A round water catchment facility built with stones, a “Hyeonmun” style fortress gate which has the gate in the upper part of the wall, and double fortress wall are also assumed to be dated to the early 10th century, which is associated with Kingdom of Taebong, also called Later-Goguryeo. In addition, the bastions in the Yangju region, such as Taebongsan mountain bastion and Dokbawi bastion, along with Daemo Sanseong Fortress, a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nationalities and very strong features, from which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Goryeo period are more clearly identified.
    Yangju region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for examining the construction principles and the process of change over time in ancient Korean fortress culture. Given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s a junction connecting the Han River basin and the Imjin River basin, it is also a factor that stimulates scholarly curiosity that the fortress culture of the north and south and the fortress culture of the east and west in Korean peninsula were implemented in new patterns and styles in the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사와 고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