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과 민족지(民族知)로서의 영화 (A Study on Liberation and Film as the Role of Ethno-knowled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5.11
30P 미리보기
해방과 민족지(民族知)로서의 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1권 / 3호 / 191 ~ 220페이지
    · 저자명 : 한영현

    초록

    해방기 조선 영화계는 새로운 독립 국가 형성과 그에 따른 각 사회 영역별 터전 마련의 대의적 명제를 수용하면서, 해방기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민족 문화’ 수립의 방편으로 ‘민족 영화’ 수립의 당면 과제를 제시했다. 영화계는 민족 영화 수립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재건’과 ‘창조’, ‘주체성’의 측면에서 다양한 담론들을 형성하고 전개시켜 나갔다. 특히 민족 영화 재건의 대전제가 되는 것은 영화의 ‘민족에 대한 계몽’이었다. 민족 영화 수립을 위해 영화계에서는 지속적으로 과거의 봉건적 잔재를 청산하고 민중의 생활과 감정에 기반한 조선적인 것을 영화에 재현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것이 해방기 조선 영화의 ‘대중성’을 설명해 주는 구체적인 내용이었다. 이러한 ‘대중성’에 기반하자면 대중에게 일시적 흥미와 자극을 제공하는 ‘오락성’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상정되었다. 또한 이른바 ‘조선적인 것’을 구현함으로써 헐리우드 영화의 공세에 맞서 ‘민족 영화’를 수립해 나가야 했다. 영화의 ‘대중성’을 ‘계몽’과 연계시키고, 영화를 따라다니는 필연적 수식어인 ‘오락성’을 배격함으로써 영화를 ‘민족 문화’와 ‘민족 국가’의 일익을 담당하는 역사적 존재로서 승격시키려는 노력이 바로 해방기 조선 영화의 ‘민족지(民族知)’적 성격에 함의되어 있다.

    영어초록

    In the field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persons concerned had suggested an urgent problem that 'ethno-graphic film' should be produced as a way to create 'ethno-cultur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topic at that time, while they accepted representative proposition to set up the base of each social area due to the establishment of new independent nation. To produce ethno-graphic film in the field of film, there were various discussions in 'reconstruction', 'creation', and 'independence' as concrete contents and the discussions were carried forward. In particular, a major premise to reconstruct ethno-graphic film was 'ethnic-enlightenment' by film. To produce ethno-graphic film, the people concerned in the field of film had insisted that a vestige of feudal society in the past should be constantly gotten rid of and Joseon-oriented ones based on the public's life and emotion should be shown in the screen. The above was concrete contents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To build up the base of such 'popularity', 'entertainingness' providing temporary fun and provocative ones toward the public should be rejected. In addition, 'ethno-graphic film' showing 'Joseon-oriented ones' had to be produced to face the pressure of Hollywood film. Various efforts to upgrade Joseon film to historical one having an important role in 'ethnic-culture' and 'ethnic-nation' by making the 'popularity' of film connect with 'enlightenment' and by rejecting 'entertainingness' which was the necessary epithet of 'film' included the 'ethno-knowledge' features of Joseon film in the liberati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