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장애가 있는 노인의 우울증 조절여부에 관한 연구 (Depression Study on the Elderly with Limitations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Help Type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8.09
17P 미리보기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장애가 있는 노인의 우울증 조절여부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책연구 / 18권 / 3호 / 53 ~ 69페이지
    · 저자명 : 손용진

    초록

    올해 2018년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10년이 되는 해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의 어려움을 덜어 주기위한 사회적 돌봄으로서 가족 부양부담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왔는지에 관해 정책 효과의 검정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는 돌봄의 유형(사적, 공적 및 복합)이 일상생활수행능력(ADL)에 장애가 있을 경우 우울증을 조절하는 지에 관한 것이다.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2014년 전국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여 장기요양보험의 등급판정자(등급외 판정자 포함) 중에서 ADL에 장애가 있어 타인을 도움을 받는 288명 대상자를 표본으로 하였다. ADL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칠 경우, 돌봄의 유형에 따라 우울증 수준을 완화시킬 것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상호작용효과는 Hayes(2018)가 개발한 PROCESS v3.에 의하여 3가지의 돌봄유형 조절변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를 고려한 분석결과, 첫째 ADL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높았다. 둘째, ADL수준이 높을 경우, 사적수준(private level)의 돌봄은 우울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ADL수준이 높을 경우, 공적수준(public level)의 돌봄 또한 우울증을 낮추는 완화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ADL수준이 높을 경우 사적수준과 공적수준을 결합한 복합수준(mixture level)의 돌봄이 존재할 경우 우울증을 조절하는 완화효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장기요양보험제도는 가족기능에 대한 보완적(supplementary)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적도움과 사적도움은 서로가 상보적(complementary)인 관계이었다. 요양보호사를 포함한 공식적(formal) 돌봄이 가족체계에 보충적(supplementary) 기능을 수행하여 장기요양급여 수혜자들의 정신건강수준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장기요양 돌봄(caring)정책이 가족의 사적돌봄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재가서비스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영어초록

    This year 2018 marks the 10th year of implementing the Long-Term Care Health Insurance(LTCHI), which aims to meet the needs of care-giving burdens for famili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LTCHI achieves it’s goal of substituting or complementing family functioning of providing care for the disabled elderly population. The current study attempts to determine if types of help (private vs. public) moderate the depression on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mitations. Using the 2014 National Life Survey for the Elderly, the study sample of 288 recipients of the LTCHI with taking assistances either from private or public level due to ADl limitations were selected. The research question was raised to test if ADL affects depression, and if types of help moderate the level of de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ADL with types of help was tested to employ PROCESS v3. developed by Hayes(2018). After considering control variables, ADL likely increases depression. Second, the private level of help does not act to moderate depression on ADL. Third, the public level of help also does not moderate depression through ADL. However, when ADL is high, a mix of private and public help moderate depression. Thus, although the LTCHI does not replace the caregiving function of families, the public level of help in combination of the private level pays off to lower dep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both the private and public types of help are complementary each other,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level of mental health for recipients of the LTCHI. Therefore, the long-term care policy endeavors to provide various community-based services to complement family functio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