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과 진단체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우울증 개념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Consideration of Psychiatric Diagnostic System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Depress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4.09
34P 미리보기
정신과 진단체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우울증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수록지 정보 : 신경정신의학 / 53권 / 5호 / 259 ~ 292페이지
    · 저자명 : 강웅구, 김혜수

    초록

    우울증(depression)과 관련된 질병분류학(nosology)은 시대가 지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우울증은 정신과에서 매우 흔히 보는 질환이어서 정신의학 전공자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것 같지만, 우울증이라는 용어는 정신의학의 맥락과 관계없이 일상 언어로도 흔히 사용될 만큼의미가 불분명하고 그 임상양상은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증상의 종류, 심한 정도 및 경과, 유발요인, 유전성, 병발하는 증상들, 치료 반응 등에서 다양한 우울증들은 큰 차이가 있지만, 현재의 분류체계는 이런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성을 구분하지 않는 것은 질병분류라는 이론적 측면을 떠나서 개별 환자별 맞춤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도 문제가 된다.1,2) 우리가 현재 우울증이라고 부르는 큰 카테고리 안에는 고전적 개념 중 (1) 멜랑콜리아, (2) 조울증, (3) 단극성 우울증, (4) 우울신경증, (5) 우울성(정동성) 인격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포괄하는 우울증에 대한 다양한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려한다. 주 초점은 우울증을 독립적인 몇 가지의 증후군으로 나누어보려 했던 과거의 입장과, 차원적 관점에서 다양성을 통합하려는 오늘날의 추세를 비교하는 것이다. 우울증의 역사를 탐색하다 보면 조증의 역사에 대해서도 공부하지 않을 수없지만, 조증에 대한 논의는 꼭 필요한 부분에만 국한할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의 논의에 대한 보조 자료로서 DSM 및 InternalClassification of Diseases(이하 ICD) 시스템에서 우울증 분류 변천과정을 별첨하였다.

    영어초록

    Today’s diagnostic criteria are based on consensus, however, they are still incomplete and being changed. These unstable but temporarily dogmatic criteria have been constraining the thinking of individual psychiatrists, and invalidating painful scientific achievements based on previous ones. The limitation of the criteria system appears especially clear concerning depression due to the ambiguity of its defini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history of various concepts of depression and to compare this to today’s tendency, which attempts to consolidate diversity. In addition to al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SM), Inter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9, ICD-9-CM, and ICD-10 were centrally discussed. Classic descriptions of depression were extracted from reviews of classic literature, and some salient concept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y had been integrated, divided, and newly proposed was traced. The descriptions of depression whose prototype had been melancholia have experienced significant conceptual changes through DSM-IV and the most recent DSM-V ; they impose tasks that are yet to be resolved. Among them, whether various depressive syndromes are diverse phenotypes of one disorder or they all represent different disorders could be regarded 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In order to conduct fruitful studies and to ensure proper treatment of every patient, more precise nosologic understanding of depression must be purs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