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에 관한 인식 탐색 (Exploration regarding Perception on the Health Exercise Manager Certificat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1.08
14P 미리보기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에 관한 인식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26권 / 3호 / 205 ~ 218페이지
    · 저자명 : 강명성, 임승엽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제도와 취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자격제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방법으로 질문지법과 면담법을 활용하였다. 먼저 자격증 취득자 및 취득준비생 334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 328명의 자료에 대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경우 자격증 보유자 여섯 명과의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질문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80.8%)이 동의하고 있으며 자격증 취득의 목적으로 취업(82.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 후 희망 근무처로는 공공기관(30.5%), 병원(25.4%)이 높았고, 자격증 취득 후 취업현황은 미취업이 55.9%로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의 효용성은 긍정적 평가(64.2%)가 부정적 평가(13.7%)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자격증 시험에 대한 인식으로서, 자격증 취득까지의 응시 횟수를 조사한 결과 1회가 60.5%, 2회가 27.5%로 나타나 대부분이 응시 2회 이내에 자격증 취득에 성공하는것이 확인되었다. 자격시험의 난이도는 보통이다(49.5%)가 높았고, 자격증 시험 빈도에 대해 현행 연 1회가적당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었다. 자격시험 과목 중 불필요한 과목으로 스포츠심리학이 선택되었고, 연수교육과 관련하여 현장 활용성의 경우 부정적인 응답(38.4%)이 긍정적인 응답(27.5%)보다 높았으며, 자격증보수교육의 필요성에는 필요하다(87.1%)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제도 개선을 위해 자격증에 대한 인식개선 방안과 연수프로그램 개선의 필요성을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 및 취득에 대한 인식과 관심, 중요성 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에 관한 제도적 보완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n the health exercise manager certificate in attempt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Methods: To collect data, a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by adopting a combined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28 certificate holders and students preparing for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 Afte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were conducted. In the interviews, six certificate holders were invited to open-ended and semi-constructed interview.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using question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80.8%) agreed on the necessity of obtaining the certificate, and employment (82.6%) was the highest as the goal of obtaining the certificate. Public institutions (30.5%) and hospitals (25.4%) were the preferred work places after obtaining the certificate. However, 55.9%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unemployed. In regard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certificate, positive evaluation (64.2%) was higher than negative evaluation (13.7%). On the other hand, as a perception of the certification ex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umber of exams until certification acquisition, 60.5% of the first and 27.5% of the second showed that most of them succeeded in acquiring the certification within the second try. The difficulty of the qualification test was moderate (49.5%), and the prevailing opinion was that once a year is appropriate as an evaluation frequency of the qualification test. Sports psychology was selected as an unnecessary subject among the subjects of the qualification test, and negative responses were higher than positive responses on the us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Lastly, the necessity of continuing after-course education for certificate holders was high (87.1 %). A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health and exercise manager qualification system, a pla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qualifications and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training program were suggested.
    Conclusion: Through these efforts, the awareness, interest, and importance of the health exercise manager qualification and acquisition are expected to b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systemic supplementation regarding the health exercise manager qual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