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택티컬 어바니즘 활용을 통한 가로공간 개선방안 연구 -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reet Space through the Utilization of Tactical Urbanism - Focused on the Project of Vitamin Park in Soje-Dong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4.04
16P 미리보기
택티컬 어바니즘 활용을 통한 가로공간 개선방안 연구 -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3호 / 95 ~ 110페이지
    · 저자명 : 한소영, 백한열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COVID –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자가격리로 인한 거주민의 활동제약의 반대급부로 오픈스페이스와 보행공간의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서울시 등 자동차 중심의 도로공간을 보행자 중심의 가로공간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로공간에 대한 도시민의 수요와 사회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로공간과 보행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가로공간의 이용 활성화와 보행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택티컬 어바니즘의 활용과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택티컬 어바니즘과 관련된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택티컬 어바니즘, 리빙랩, 파클렛 등 관련 개념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진행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의 차별성을 도출한다. 택티컬 어바니즘을 적용한 해외사례를 연구하여 택티컬 어바니즘의 주요 요소 및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2년 국내에서 택티컬 어바니즘을 적용하여 임시적으로 거리공원을 조성한‘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및 단계별 주요 요소를 분석하고, 지역주민 및 참여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을 검증한다. (결과) 소제동 비타민파크 프로젝트는 파클렛을 활용하여 택티컬 어바니즘을 실행한 사례로 리빙랩 형태의 지역주민, 공공, 전문가, 지역사회 등 폭넓은 참여를 통해 자동차 위주의 도로 공간을 일시적으로 시민을 위한 거리공원으로 조성한 사업이다. 특히, 지역대학이 행사의 기획, 준비, 운영을 총괄하여 행사를 진행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짧은 사업기간으로 지역주민들이 사업의 전 과정에 적극적인 주체로 참여하지 못한 점과 후속사업의 미비로 인해 프로젝트 이후 도로 공간으로 되돌아간 점은 소제동 비타민파크의 한계로 남는다. (결론) 택티컬 어바니즘을 활용한 일시적 프로젝트를 통해 대규모 가로공간 개선사업에서 발생하는 예산 손실과 위험부담 등 사회적 비용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수준 높은 가로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실제 그 공간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참여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주민참여형 계획과정인 리빙랩 등 다양한 방안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로공간 개선 사업시 택티컬 어바니즘을 활용하여 소규모,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시민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내어 일시적인 행사가 아닌 장기적으로 보행친화적인 가로공간을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rough the aftermath of the 2020 COVID-19 pandemic,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the utilization of open spaces and pedestrian areas due to the restrictions imposed by self-isolation, acting in opposition to the constraints on residents' activities. Policies implemented by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re transitioning car-centric road spaces into pedestrian-centric urban spaces. This indicates the need for research on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s and urban spaces to meet the demands of city residents and societal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insights into the utilization and application of tactical urbanism to enhance pedestrian environments and activate the use of urban spac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ase studies. (Method) Through a review of theoretical framework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actical urbanism, this research examines concepts such as tactical urbanism, living labs, and placemaking. By scrutinizing relevant previous studies conducted domestically,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its distinctiveness. Furthermore, by investigating international cases applying tactical urbanism, the study derives key elements and implications of tactical urbanism. Building upon this, the research analyzes the process and key components of the "Soje-dong Vitamin Park" project, a temporary street park created through tactical urbanism in 2022. Additionally, it validates the project through surveys conducted with local residents and participants. (Results) The Soje-dong Vitamin Park project is a case of executing tactical urbanism using placemaking, involving broad participation from local residents, the public, experts, and the local community in a living lab format. It transformed car-centric road spaces into temporary street parks for citizen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involvement of a local university in overseeing the planning, preparation, and operation of the event, along with validating its effectiveness through surveys. However, the project's limitations include the limited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due to the short duration of the project and deficiencies in follow-up projects, leading to the reversion of the road space after the project's completion. (Conclusion) Utilizing tactical urbanism for temporary projects can help reduce the social cost burden, such as budget losses and risk exposure, typically associated with large-scale urban improvement projects. To create high-quality urban spaces,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o actually use those spaces.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resident participation-oriented planning processes such as living labs, need to be explored. Furthermore, when implementing urban improvement projects, utilizing tactical urbanism through small-scale, ongoing experiments can help garner public support and create pedestrian-friendly urban spaces in the long term, rather than just temporary ev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