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달 초기에 모성 분리된 초기 성체 흰쥐의 행동 변화에 있어서 Glutamate성 신경계의 역할 (Implication of Glutamatergic Mechanism for the Behavioral Changes Resulting from Early Maternal Separation during the Development in Juvenile Rat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0.04
7P 미리보기
발달 초기에 모성 분리된 초기 성체 흰쥐의 행동 변화에 있어서 Glutamate성 신경계의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신약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신약물학회지 / 21권 / 2호 / 71 ~ 77페이지
    · 저자명 : 박숙현, 정영인

    초록

    발달 초기에 만성적인 모성 결핍을 경험한 초기 성체 흰쥐에서 나타나는 행동 양상은 우울증에서 관찰되는 행동 양상과 유사하였다. 모성 결핍을 경험한 실험군이 모성 결핍을 경험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glutamate성 NMDA 수용체의비경쟁적 길항제인 MK-801과 NOS 억제제인 L-NA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는 점에서 발달 초기의 만성적인 모성 결핍은 glutamate성 NMDA-NO 경로의 정상적인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모성 분리된 실험군에서는 항우울제에 의해 운동활성은 증가되었고 강제수영시의 부동상태는 단축되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운동활성과 부동 상태가항우울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은 스트레스에 민감한 glutamate성 NMDA-NO 경로의 취약이 우울증의 생물학적 소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Objective Early maternal separation (EMS) during the development has been known to influence the alteration of behavior in adulthood. Nitric oxide (NO) may have been implica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neurodevelopment as an intracellular and intercellular messeng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eurochemical mechanism of the behavioral changes resulting from EMS during the development in juvenile rats.
    Methods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subjects that were removed and weaned from the day on postnatal day 15. Control group were the litters that experienced no EMS until postnatal day 21. On postnatal day 15 and 36, the locomotor activity (LA)was measured. On postnatal day 36 the behavioral change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were also measured. Test drug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including MK-801 (0.5 mg/kg), Nω-nitro-L-arginine (L-NA, 20 mg/kg), paroxetine (20 mg/kg),and bupropion (150 mg/kg).
    Results EMS produced the decrease of LA significantly in juvenile rats (p<0.001). Both MK-801 and L-NA increased LA in experimental group (p<0.001) and control group (p<0.05). The degree of increase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 However, both paroxetine and bupropion increased LA in experimental group (p<0.001, p<0.05), but not in control group.
    In the FST, immo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01). The increases of immo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ere abolished after injecting MK-801, L-NA, paroxetine, and bupropion,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S during the development can lead to behavioral abnormalities in juvenile rats.
    The underlying neurochemical mechanism of this behavioral changes may be, in part, related to the glutamatergic NMDA-NO pathway. This suggests that glutamatergic NMDA-NO pathway vulnerable to stress may predispose to depr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신약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