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60년대 주요 중국문학사 서술 시각 검토 (An Examination of Leading Descriptive Viewpoints of Chinese Literary History during the 1950-60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01.02
24P 미리보기
1950-60년대 주요 중국문학사 서술 시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8호 / 353 ~ 376페이지
    · 저자명 : 이등연

    초록

    19세기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중국문학사 편찬 작업은 50년대 이전 전반기 동안, 특히 20-30년대를 거치면서 대부분 ‘교과서’로 등장한 데서 비롯되는 몇 가지 태생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질적, 양적 두 측면 모두 상당한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은 중국 근현대사에서 둘도 없는 정치적 變曲點이었다. 변화의 거센 물결은 비단 정치에 한정된 게 아니라 전체 사회 문화 어느 곳도 예외 없이 뒤덮었고, 문학 창작과 연구 분야에서도 그 큰 조류의 영향 아래 완전히 새로운 국면이 전개되었다. 이제 ‘문학사관’은 연구자의 독창적 시각이기에 앞서 마르크스주의와 毛澤東 사상을 최우선의 기준으로 삼아야 했고, 연구자들은 이 전제 아래 문학사를 하루 빨리 ‘새로’ 써야만 하는 상황에 처했다. 李長之의 『中國文學史略稿』(1954-1955) 등 개인 편찬 문학사가 4-5종 등장한 후, 1958년부터 北京大學 中文系 등 각 대학에서 학생․교수가 집단 참여하는 형식의 문학사가 속속 만들어졌던 것은 바로 이런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있었던 것이다.
    이 논문의 기본 연구 목적은 20세기 전반기 문학사의 특징을 검토했던 선행 작업에 이어 20세기 후반기 가운데 1950-60년대에 ‘중국’에서 출판된 주요 문학사를 검토 대상으로 삼아 그 편찬 체제와 서술 시각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려는 데 있다. 20세기 후반기에 이루어진 문학사 편찬 작업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966-1976년의 문화대혁명,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 등 정치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진행되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구분해 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다룰 1950-60년대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서 문화대혁명 시작 이전까지, 이른바 중국학자들이 ‘건국 후 17년간’이라 부르는 시기를 가리킨다.

    영어초록

    When People's Republic of China made its appearance on Oct. 1, 1949, an era of socialism came into its existe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country. As a result, its social culture was full of a new wave of change, and the literary society of the country had to face change in its quality. The change meant that the people in the literary society, adopting Marxism and Maoism, began to study and write literary works. In editing literary history, the most conspicuous argument was: How fast they write literary histories in a new viewpoint, following the demand of college literary history course. Comprehensively examining literary histories which emerged during the 1950-60s, I find that there are three-phase transition: single or two/ three-person collaboration, group edition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took part together, and collaboration of professional scholars in which more than 10 scholars participated.
    Succeeding to my previous research which examines the literary histories of the beginning of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changes of editors' viewpoints and of editing system by taking a look at Chinese literary histories published during 1950-60s. For this purpose, I comp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editions of diachronic style literary history published in this period, and then both analyse and compare Chinese Literary History (1958) edited by the 1955 entrance students of Chinese Department in Peking University(北京大學中文系文學專門化1955級集體編著 『中國文學史』), Chinese Literary History (1962) by Literature Institute of Chinese Social Academy(中國社會科學院文學硏究所中國文學史編寫組 『中國文學史』), Chinese Literary History (1962) by You Guoen, Wang Qi, Xiao Tiaofei, Ji Zhenzhun, Fei Zhen'gang(游國恩․王起․蕭滌非․季鎭準․費振剛 主編 『中國文學史』).
    In modern China where political arguments and struggles were quite severe--particularly during the 1950-60s when politics taught literature, literary worldview of historical materialism following Marxism and Maoism became dominant. On this basis, they evaluated and judged the ancient Chinese literature in terms of class, people, reality, and reformation. But applying crude theories to literature, they produced immature, one-sided, and mechanical judgment of literature. Yet this tendency is considered as an inevitable process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