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 도시락 제공 기관의 운영관리 실태 (Current Status of Meal Box Service Management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uring Summer Vaca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09.04
10P 미리보기
여름방학 중 결식아동 도시락 제공 기관의 운영관리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4권 / 2호 / 206 ~ 215페이지
    · 저자명 : 윤보람, 윤지현, 심재은, 권수연

    초록

    본 연구는 방학 중 결식아동에게 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의 효과적인 운영관리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결식아동도시락 제공 기관을 대상으로 운영관리를 평가하였다. 총11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100부(87.8%)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응답한 급식담당자는 약 3/4 이상이 여성이었고, 팀장, 대표·사장, 사회복지사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2) 응답기관 중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일반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이 53%, 반찬으로만 구성된 ‘반찬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이 47%로 나타났다. 일반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은 반찬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보다 도시지역에 위치하거나 3,500원을 지원받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따라서결식아동에게 제공되는 도시락의 구성형태는 지역과 지원금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응답자의 1/3이상(38%)이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 영양관리기준의 존재를 모르고 있었으며 영양사가 식단을 작성하는 비율은 34%로 보고되어 식단관리가 미흡한 것으로나타났다.
    4) 응답대상의 75% 이상이 식료품비로 80% 이상을 지출한다고 응답하여 학교, 병원과 같은 단체급식소의 식료품비 지출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응답기관의 64%는 표준레시피를 사용하지 않았고, 보존식을 보관하지 않는 기관도 43%나 차지하였다. 기관의45%가 배달 중 도시락의 온도유지를 위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아 도시락의 생산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관리를 기관의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반도시락을 제공하거나 3,000원보다 3,500원의 급식지원금을 받거나 또는 영양사가 있는 기관에서 표준레시피나 보존식을 보관하는 비율이 높아 생산관리를 잘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6) 영양사가 없는 기관에 비해 영양사가 있는 기관에서 위생수칙을 더 잘 실천하는 경향을 보였다.
    7) 도시락의 질 향상을 위해 응답자는 급식지원금 인상, 자원봉사자(배달인력)확보, 표준 식단마련, 전문인력확보(영양사)를 요구하였고 적정 급식지원금으로는 4,000원 이상~4,500원 미만으로 조사되어(42%) 국가차원의 재정 및인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결식아동에게 제공되는 도시락은 일반도시락과 반찬도시락으로 분류되며 도시락의 구성형태에 따라 지역, 급식지원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도시락 제공 기관의 식단관리와 생산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락의 생산관리는 일반도시락보다 반찬도시락을 제공하거나, 3,500원보다 3,000원의 급식지원금을 받거나, 영양사가 있는 기관보다 없는 기관에서더욱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시락 제공 기관의효과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도시락의 구성형태와 지역적 환경조건을 고려한 급식지원금의 조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기관별 영양사 고용이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감안하여, 지역의 결식아동 사업을 지원하는 전문 기구의 운영이 필요한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는 방학 중 결식아동에게 도시락을 제공하는 기관의 운영관리를 평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 결과는 결식아동의 국가차원의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지금까지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이 아동급식의 수혜자 입장에서 지원실태의 문제점을 다루어온 반면 이 연구는 급식을제공하는 기관, 즉 공급자 입장에서 운영관리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했기 때문에 앞으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organizations delivering meal boxes for low-income children during summer va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ersons in charge of meal box production and service of these organizations via mail. Out of 114 questionnaires distributed nationwide, 100 were analyzed (87.8% analysis rate). Over half (53%) of the organizations delivered meal boxes consisting of rice and side dishes while the rest delivered side dishes only. About 81% of the organizations received KRW 3,000 per meal from their local governments and the rest received KRW 3,500. Only 28% of organizations had employed a dietitian. Over one-third (38%) of the respondents were unaware of the official nutritional standard of the foodservice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during vacation. Most of the organizations (94%) had menu planned in advance. The average percentage of food cost was 84.1%. Over 40% of the organizations did not keep food samples for sanitation test (43%) and did not take any measures for keeping food temperature during delivery (45%). The organizations delivering rice and side dishes were more likely to be located in cities rather than rural areas and received higher reimbursement rate. The organizations receiving reimbursement of KRW 3,500 or hiring a dietitian were more likely to use standardized recipes, keep food samples for sanitation test, or take measures for keeping food temperature during delivery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Respondents reported that increasing reimbursement rate was the most necessar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eal box.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eal box delivery service for low-income children was not properly managed during the vacation, with regards to menu planning and food production. It is recommended that reimbursement rate for meal boxes should be adjusted depending on meal box types and local condition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2) : 206~215, 200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