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고등학교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분석 (Analysis of Career-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s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3.08
29P 미리보기
초·중·고등학교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9권 / 4호 / 71 ~ 99페이지
    · 저자명 : 구교정, 김영권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중·고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분석을 통해 기반 조성과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지원을 탐색하고자설문지를 개발하여 인천시의 초·중·고등학교 교원 50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였고, 설문지 통계 분석으로 확인되지않은 부분은 교사, 학생, 학부모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기 진로 연계교육과정의 운영은 학교급 모두 50% 정도이며, 중학교(52.0%)는 교과, 초등학교(35.7%)와 고등학교(77.7%)는 교과와창체 혼합 적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환기 진로 연계 프로그램은 진로·적성을 매우 잘 반영하고있지만,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진로 연계 활동은 학교급별로 모두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환기 진로연계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학교급별 공통으로 교육과정 명시와 교사 연수가 선결과제로 대두되었다. 셋째, 전환기진로 연계 기반 조성을 위해 초·중학교의 학생 및 학부모는 상급학교에 대한 안내를 갈구하였고, 교사에게 교육과정운영 및 매뉴얼은 학교급을 막론하고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지원 및 온라인 플랫폼 등의 제도적 지원 등을요구하였다. 넷째,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과정 지원에 있어서 초등학교는 교과와 창체의 조정 시수, 중·고등학교는기말고사 이후 전체이수 시간을 모든 교과에서 운영을 선호하였다. 프로그램 지원은 모든 학교급에서 정서 적응을요구하였고, 초·중학교는 초·중·고 학습 연계 요소가 포함된 활동, 진로 희망학교 탐방 등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환기 진로 연계 교육활동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foundations, curriculum, and program support through the analysis of career-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50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For any unknown parts in the questionnair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career-linked educational curricula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as approximately 50% across all school levels. Middle schools(52.0%) showed the highest applic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 academic subjects, while elementary schools(35.7%) and high schools(77.7%) showed the highest applica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with academic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Second, although career-linked programs reflected career exploration and aptitude very well, activities related to advancement to higher-level schools were generally inadequate across all school levels. Therefore, curriculum specification and teacher training were identified as essential prerequisites for improving career-linked programs. Thir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areer-linked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students and parents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ought guidance regarding higher-level schools, and teachers expressed the need for curriculum operation and manuals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y also demande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assistance such as online platforms. Fourth, regarding support for career-linked educational curricula, elementary schools preferred adjustments in the duration of academic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ile middle and high schools preferred the overall duration of activities after final exams. Program support was demanded in terms of socio-emotional adjustment by all school levels,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wed a preference for activities that included elem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arning integration and visits to desired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career-linked educ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er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