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인화를 통한 한∙중∙일 현대 포스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odern Posters through Literati Painting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9.01
14P 미리보기
문인화를 통한 한∙중∙일 현대 포스터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66권 / 35 ~ 48페이지
    · 저자명 : 리신린

    초록

    20세기 이후, 현대 시각 문화 분야에서는 자아를 발견하고 자아를 새롭게 인지하며 새로운 관점과 시각, 그리고 새로운 표현 방법으로 동양문화를 나타내는 트렌드가 나타났다. “학문은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자신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다 (不学为人,自娱为己) 요최, 위진남북조., 중국회화이론서《续画品》, Chinese Text Project. https://ctext.org/zhs.
    ”는 말이 보여주듯이 이는 문인 사대부들이 자신의 정서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그림을 통해 나타내는 문인화의 핵심 주장과 맞아떨어진다. 문인화의 예술 형식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분석되며 정의되고 있다. 그중 다수의 훌륭한 작품들은 문인화의 표현 형식을 요소로 삼아, 시각디자인에서 디자인 언어를 현지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인화의 형식과 관점을 융합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인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성장여건, 신분과 특징, 사상, 필묵과 색채, 제재(題材), 기능 등 6가지 측면에서 한·중·일 전통 문인화에 대해 비교 분석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디자인에서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점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포스터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기로 한다. 아시아 사상의 흐름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전통적인 그래픽 표현 매체에서 동서양의 명확한 차이가 생겨나게 되었다. 일부 현대 포스터에는 동양 특유의 양식이 담겨 있고, 그들 공통의 뿌리를 찾는 것이 중요해졌다. 끝으로 한, 중, 일 현대시각디자인 분야에서의 대표적인 인물의 작품을 선택하여 분석을 통해 디자인에서의 현대 문인화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대 시각 문화 분야에서 아시아의 시각디자인 작품에는 공통적인 양식이 존재하는 동시에 각국의 문화 차이로 시각적 특징의 다름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문인화 개혁 이후 포스터 디자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인화의 발전 특징과 한·중·일 포스터의 ‘다름’과 ‘같음’, 그리고 그 맥락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한·중·일 문인화인 포스터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촉진하여 앞으로의 동아시아 시각 원형탐구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fter the 20st century, the trend of expressing the Eastern culture by discovering self, newly perceivingself, and based on new viewpoint and sightemerged in the modern visual culture sector.The saying "Studying is not for others but for one's own pleasure." coincides with the key arguments of literati paintings through which literary noblemen tried to express their emotions. The artistic forms of literati paintings are being ceaselessly reinterpreted, analyzed, and defined in the visual design sector. A number of excellent works are localizing design language in visual design and converging forms and viewpoints of new literati paintings by having expression forms of literati paintings as an el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concept of literati paint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mparatively analyze traditional literati paintings of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six aspects including background,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ainter, pen and ink and ideology, color, theme, and function. In addi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t the posters which are deemed to hav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modern design as the study targets. With the development of Asian ideologies,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ppeared in traditional graphic expression media. Some modern posters contain typical Eastern styles and discovering their roots has become important. Lastly, the elements of modern literati paintings in design were examined by selecting the works by leading figures in the modern visual design field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study outcomes, Asian visual design works have both common styles and different visual style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Such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same manner in postern designs after the literati painting revolu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iterati paintings, 'differences' and 'sameness' of poster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ir context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in exploring original East Asian visual design in the future since this study has promoted poster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i paintings and suggested development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