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 무형문화유산과 융합한디지털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를 활용한3D애니메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al Contents Integrated with Loc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3D animation using tug-of-war in Dangjin-si–)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3.12
24P 미리보기
지역 무형문화유산과 융합한디지털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를 활용한3D애니메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3호 / 45 ~ 68페이지
    · 저자명 : 염준영

    초록

    전통 무형문화를 활용한 디지털 문화콘텐츠 개발은 문화콘텐츠산업에 있어 원천소스로서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세계는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여 다양한 디지털융합 콘텐츠 개발을 이룩해 왔으며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하여 세계의 지구촌화로 인류는 각기 다른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게 됨으로써각자의 전통 무형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디지털기술과 융합되면서 세계 각 국가의 전통무형문화유산을 디지털콘텐츠로 보존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한 디지털콘텐츠 제작기술은 문화콘텐츠산업의 문화적 재료가 되는 문화원형의 한 부분으로서,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함축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요무형문화재를 IP소재로 활용한 디지털기술이 문화콘텐츠산업으로 활용되어 성공한다면 지역 이미지 상승뿐 아니라 문화산업 전반의 활성화에 핵심적인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가치를 지녔음에도 중요무형문화재 활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편이며, 이마저도 대부분 디지털 기록화 또는 디자인적 요소의 활용으로만 그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충남 당진 지역의 상징인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지역적으로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으로 캐릭터 및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개발하고 관광 상품화시킴으로써 지역 홍보뿐아니라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함에 연구 목적이 있다. 당진 지역을 상징하는 당진 기지시 줄다리기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통한 캐릭터 및 애니메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지시 줄다리기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현황분석과 기존 캐릭터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지역의 특성과 문화관광 홍보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한 캐릭터 모델 및 애니메이션콘텐츠 개발을 통해서 문화콘텐츠 산업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 점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가질것으로 생각하며향후 부족한 부분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어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며, 더불어 더 나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Digital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e has absolute value as a source source fo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world has developed various digital convergence contents in the 4th industrial era, and as the globalization of the world through digital networks naturally introduces different cultures, interest in each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e increases, and converges with digital technolog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preserve and visualize the tradi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each country as digital content. Digital content production technology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a part of the cultural prototype that becomes the cultural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is characterized by cultural ideology.
    Accordingly, if digital technology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IP materials is used as a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succeed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serve as a key catalyst for not only raising the local image but also revitalizing the cultural industry as a whole. However, despite having such important values, research on the us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still insignificant, and even most of these are limited to digital recording or design ele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by developing characters and animation contents and commercializing them through locally differentiated storytelling using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Giji, Dangjin, Chungcheongnam-do. In the era of globalization of local culture,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nimation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utilizing local characteristics by developing and utilizing characters that symbolize local culture through storytelling. Curr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can see similar cultural contents that symboliz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esent these problems and develop regional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m, we intend to develop characters and animations through storytelling by utiliz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ug-of-war in Dangjin Giji City, which symbolizes the Dangjin area.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ug-of-war in the base city, present the problems of existing characters, and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utilizing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rough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models and animation contents to maximiz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tourism promotion effects, and we will try to continue the shortcoming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and we look forward to better follow-up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