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 시끔굿 무가(巫歌)의 구성과 의미: 줄포・김봉순・신귀녀・전금순 무가를 중심으로 (The Composition and Meanings of Shaman Songs in Jeonbuk Sikkeum Gu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1.12
42P 미리보기
전북 시끔굿 무가(巫歌)의 구성과 의미: 줄포・김봉순・신귀녀・전금순 무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4권 / 4호 / 111 ~ 152페이지
    · 저자명 : 임니나

    초록

    전북 무속에서 무당은 주로 노래로써 무의식을 진행하여 무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서사무가보다 일반무가로 된 절차가 많다. 그럼에도 그동안 서사무가 이외에 일반무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북 씨끔굿 중 일반무가의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구성에 따른 의미가 무엇인지 등을 처음으로 밝히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굿은 ‘청신(請神)-오신(娛神)-송신(送神)’의 구조로 알려져 있으나, 전북 씨끔굿 무가 사설에서는 이것에 벗어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산자 발원을 위한 전반부에서는 대체로 ‘도입-신 호명・청신-각 신 관련 내용-(오신)-신 호명(감응)-발원’으로 진행하는데, 모셔지는 대상 신이 누구인가와 그 신이 무슨 성격과 역할 등을 하는가에 따라 무가내용이 다르다. 망자 천도를 위한 후반부에서는 망자를 어떤 의식 행위로 극락왕생시킬 것인가에 따라 내용이 다르므로, 절차간 공통된 구성을 찾기 어렵다.
    전북 시끔굿 무가에는 성주굿의 전통 가옥 짓는 과정 및 이와 관련된 문화, 삼신굿의 전통 출산의례, 조상굿의 전통 장례 문화 등 한국 전통문화를 알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 또한, 전북 시끔굿에서는 천문사상・오행론 등을 기반으로 하거나, 불경・도교의 경전에 영향을 받은 무가 사설이 발견된다. 향후 한국 전통문화와 철학사상 등과 연계한 무가 연구를 진행하여 논의의 깊이를 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Saseols of Jeonbuk shaman songs recorded in reports and collections of shaman songs and examine how the content of Jeonbuk shaman songs was composed and what meanings could be found according to content composition. In general, a Gut is in a structure of “Cheongshin - Oshin – Songshin.” The analysis results of Jeonbuk shaman songs show many were not in this structure. The study first arranged the composition of content in the shaman songs of Jeonbuk Sikkeum Gut and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Jeonbuk shaman songs by examining the Sikkeum Gut of many different areas in Jeonbuk beyond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certain performers or narrative dance,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Jeonbuk Sikkeum Gut also includes shaman song Saseols based on the Cheonmun ideas and theory of Five Elements or influenced by the scriptures of Buddhism and Taoism. If studies are conducted on shaman songs in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philosophical ideas, they will help to address the doubts and questions raised in the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