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각적 감지의 이론으로서 요한 게오르크 줄처의 미학 (Die Ästhetik Johann Georg Sulzers als die Theorie der sinnlichen Empfindu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4.08
20P 미리보기
감각적 감지의 이론으로서 요한 게오르크 줄처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브레히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31호 / 327 ~ 346페이지
    · 저자명 : 김윤상

    초록

    최근 독일 문화학 영역에서 계몽주의 시대의 소위 ‘인간학적 전환’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 있듯이, ‘정신적인 것과 육체적인 것의 소통 commercium mentis et corporis’이라는 ‘전체인간 der ganze Mensch’의 이념에 근거하여 형성된 ‘인간에 관한 학문 Wissenschaft vom Menschen’으로서 ‘인간학 Anthropologie’은 18세기 중엽 감각적 인식의 학문으로서 주창되었던 바움가르텐의 미학(Aesthetica), 1750, 1758)과 동일한 근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각의 지식체계의 형식들에 있어서도 유사성이 존재했다. 계몽주의 초기 바움가르텐에게서부터 발아되어 18세기 후반까지 40여 년간 논의되다가 칸트의 비판철학적 미학(Kritik der Urteilskraft, 1790)과 그 이후 헤겔의 사변적 미학(Vorlesungen über Ästhetik, 1835-1838)에 의해 가려지게 된 소위 ‘인간학적 미학 anthropologische Ästhetik’은 인간영혼의 고유한 능력들에 대한 경험 과학적 지식의 약진을 통해 야기된 이성적 이해 및 반성적 의식의 상대화와 감성적 능력과 감각적 지각의 새로운 재평가에 근거하여 형성되었다. 기존의 근대 미학사에서 주로 다뤄진 ‘초월적 감성론 transzendentale Ästhetik’ 내지 ‘미적 판단의 이론 Lehre vom ästhetischen Urteil’으로서의 칸트의 비판철학적 미학, ‘미의 이념의 철학으로서 미적인 미학 kallistische Ästhetik als Philosophie der Idee des Schönen’으로서의 헤겔의 사변적 미학과는 달리 인간학적 미학은 정신과 육체의 통합적 존재로서 인간에 대한 경험과학적 이해에 근거하여 ‘감지 Empfindung’와 ‘지각 Wahrnehmung’의 다양한 능력들과 이를 통해 구성되는 경험공간을 규정하고자 하였을 뿐 아니라 정신과 육체의 통합적 경험능력으로서 감정의 가능성 조건을 해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인문학에 내재된 경험 과학적 토대를 재 입증해 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인문과학과 자연과학 간의 통섭의 역사적 범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계몽주의 초기와 계몽주의 후기 사이의 시기에 해당되는 인간학적 미학의 생성사에서 초기와 후기의 가교역할을 하였던 줄처의 감각적 ‘감지’이론을 대상으로 하여 줄처의 이론에 내재되어 있는 인간학적 미의 이념과 인간학적 미 이론의 핵심지표들을 해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영어초록

    Der Nexus ästhetischer und anthropologischer Begründungsformen, der zum ersten Mal bei Alexander Gottlieb Baumgarten systematisch zum Tragen gekommen ist, avancierte bei Johann Georg Sulzer zu einem wahrnehmungspsychologisch fundierten und anthropologisch-ästhetischen Konzept. Abgegrenzt einerseits von der Kantischen Theorie der ästhetischen Urteilskraft bzw. sein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andererseits von der Hegelschen kallistischen Ästhetik als der Lehre der schönen Idee, ist die Ästhetik Sulzers als die Theorie der sinnlichen Empfindung darauf gerichtet, die leibseelischen Affizierungspotentiale von Gefühlen und Sentiments und mithin die ästhetisch relevanten Phänomene dahingehend miteinander zu vernetzen, dass die Modi der denen zugrundeliegenden ästhetischen Empfindung als einer Tätigkeit der Seele im bestimmten Verhältnis verschiedener Elemente zueinander sich entfalten und zutage treten. Indem Sulzer die Tragweite des Ästhetischen dadurch ausgedehnt, dass es sich nicht auf ästhetischem Geschmack beschränkt, sondern auf Vernunft und sittliches Gefühl hinausläuft, und zugleich das breite Bedeutungsspektrum des inneren Sinnes bzw. des inneren Gefühls ästhetisch-aisthetisch zu begründen versucht hat, hat sich seine Ästhetik als ein Musterbeispiel des integrativen anthropologischen Wissenszusammenhangs herausgebildet, in dem sich die experimentale Seelenphysik, die Psychologie und die Ästhetik einander verhalten.
    Die vorliegende Arbeit intendiert zuerst, die Grundsätze der ‘Pyschologia empirica’, die von Sulzer der ‘Psychologia rationais’ vorgezogen wurde, auf die Konstruktion der Theorie der sinnlichen Empfindung hin zu explizieren. Danach unternimmt diese Arbeit, an die Konstitutionsleistungen der anthropologischen Ästhetik heranzutasten, indem man die Idee des Schönen, die bei Sulzer ‘das binnenartikulierte zusammengesetzte Ganze’ impliziert, und die Kernmerkmale der ästhetischen Empfindung, die im modernen Sprachgebrauch als ‘Vollzugsoriertiertheit und Selbstbezüglichkeit’ ausgedrückt werden können, herausarbeit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