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漵의 尊理論的 서예인식과 書家비평 (Calligraphy of Li-centrism and Criticism on Calligraphers by Lee Seo Prof)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1.09
29P 미리보기
李漵의 尊理論的 서예인식과 書家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19호 / 141 ~ 169페이지
    · 저자명 : 김응학

    초록

    東ㆍ西洋의 철학과 미학에서 ‘道’나 ‘理’에 관한 사고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출발한다. 性理論은 理ㆍ氣의 개념을 구사하면서 宇宙의 생성이나, 인간의 心性구조, 사회에서 인간의 자세 등, ‘道’나 ‘理’를 깊이 사색하였다.
    조선조 17-18세기는 예술사조와 예술창작에 있어서 한국문화를 구체적으로 전환시키는 변환기이다. 이러한 근대 지향적 성향은 당시 지식인의 새로운 의식변화에 크게 작용함으로서 비록 성숙한 예술이론으로 전개되지는 못하였지만, 전통 주자학이 갖고 있는 모든 규범에 대해 비판하고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인다. 당시 지식인들은 기존 전통규범에 反하여, 眞ㆍ今ㆍ俗ㆍ我ㆍ情ㆍ氣ㆍ新ㆍ奇ㆍ變 등의 美개념에 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인다.
    기존의 서예는 技보다도 道, 藝보다도 德, 情보다는 性, 氣보다는 理를 중시하였다. 이런 점은 성리학이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성리론의 관점에서 예술은 ‘道’를 중심으로 文以載道, 文以貫道, 文以明道, 등을 추구함으로서 道本藝末을 강조한다. 따라서 당시의 서화를 ‘末藝’나‘ 小技’로 폄하하여 보는 관념을 낳기도 하였다. 하지만 本末論에 입각하여 서화를 ‘末藝’로 보았지, 기능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玩物適情을 요구하였으며 전면 부정하지는 않았다. 이는 유학자들이 지나치게 서화에 탐닉함으로써 ‘道’, 혹은 ‘理를 추구하는 참된 학문의 길에 해가 될 수도 있다는 玩物喪志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보았다.
    이에 李漵는 理를 담고 있는 氣의 雅趣로 서예의 핵심을 바꾸었고, 天理, 天心, 道心을 관통하는 획으로 전환시켰다. 李漵는 李滉을 존숭하면서 理氣互發說을 지지하였다. 이 理氣互發說을 주장하는 경우에는 氣發보다는 理發을 더욱 강조하였다. 理發의 강조는 理가 氣를 주재하여야 하며, 形氣에 구속당하는 氣發의 서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한 것이다. 서예에서 理發의 강조는 天理를 담아낸 正法이며, 그 표현은 中正하며, 雅正한 正氣의 예술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李漵는 理發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人心, 七情, 老佛을 비판한다. 또 韓ㆍ中 書家들의 비평에서는 形氣에 구속당하는 氣發의 서예를 異端이라 배척하고, 正理ㆍ正法에 입각한 中正한 서예를 펼친 왕희지만을 정통으로 삼는다. 그러나 오직 理發만을 강조한다면 오히려 윤리도덕에 지나치게 종속되는 예술로 전락할 수도 있다. 氣發은 개인의 예술적 창의성과 시대적 미의식의 전개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李漵가 비평한 尊理論的 서예미학관은 다소 경도된 점도 있다. 하지만 그가 처한 시대에서 서예의 폐단을 儒家의 서예미학관에 근거하여 韓ㆍ中 書家들의 서예 가치를 評하면서, 古를 담고 있는 今의 古今觀으로 美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루 융합한 書藝觀을 드러내고자 했다고 본다.

    영어초록

    East Asian thought and western philosophy view Tao (the way) and Li (natural principal) from different points. Neo-Confucianists contemplated Tao or Li including the birth of cosmos, human mental structure, and social manner, creating concepts like Li and Qi (material force and energy).
    The Joseon Dynasty in 17th-18th century was a time of cultural change in the trend and creation of art. This modern-oriented inclination could not develop an evolved theory on art, but had a serious effect on consciousness changing of scholars of Neo-Confucianism of the day. And they tried to criticize and go against all traditional Neo-Confucianism’s doctrines. The scholars were interested in aesthetic concept as truth, modernity, secular society, ego, affection, Qi, novelty, strangeness, changing, and so on.
    Being influenced by Neo_confucianism, existing East Asian Calligraphy put more emphasis on Tao, virtue, nature, and Li than technique, art, affection, and Qi. According to Neo-Confucianism, with Tao as the center, art should pursue the Tao first principle by calligraphy with Tao, calligraphy seeing through Tao, and calligraphy brightening Tao. Therefore painting and calligraphy of the day were treated like a slight art. But they were required to contain affection and mind in functional aspect. This was a measure to prevent the scholars from indulging in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to lead to Tao and Li to improve their studies.
    Lee Seo regarded grace of Qi containing Li as an essence of East Asian Calligraphy and imparted new meanings like the law of nature, the will of nature, and the mind of Tao to the calligraphy. He supported theory on separate manifestation of Li and Qi by master Toegye. The theory places more emphasis upon manifestation of Li than manifestation of Qi. According to the theory, Li controls Qi, calligraphy becomes art of manifestation of Li free from form, and calligraphy by manifestation of Li is order with natural principal, expression of moderation, and art of righteous Qi with refinement.
    As a supporter of the theory, Lee criticized the will of human, desire, Taoism and Buddhism. Also he regraded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ers indulged in formalism as heretical calligraphers and only Wang Xizhi’s calligraphy as an authenticity with righteous principal and order. However, it is dangerous to accept only manifestation of Li, because art would excessively be subordinate to ethics and moral. Manifestation of Qi would be seen as personal artistic creativity and development of aesthetical sense of the times. Therefore Lee’s aesthetical view based on Li-centrism has a little negative aspect. Although, his achievement is significant. Based on aesthetical view of Neo-Confucianism, he criticized harmful effect on calligraphy of the day, discussed calligraphers in the Joseon Dynasty and China, and identified calligraphy amalgamated with aesthetical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by modern view including ancient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