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도 1‧2호선 出水 목간‧죽찰에 기재된 곡물의 성격과 지대수취 (The Character of the Grains Written in the Wooden Tags in the Wrecked Ships, Mado 1 and Mado 2)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2.09
36P 미리보기
마도 1‧2호선 出水 목간‧죽찰에 기재된 곡물의 성격과 지대수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84호 / 1 ~ 36페이지
    · 저자명 : 신은제

    초록

    마도 1·2호선은 13세기 초 지금의 전남 서남부 지역과 변산반도 일대에서 각각 화물을 싣고 개경으로 향하던 중 안흥량에서 침몰한 배다. 이들 배의 적재품에는 발송지, 발송자, 수취인, 그리고 발송물품이 기재된 목간과 죽찰이 부착되어 있었다. 목간과 죽찰에 기재된 발송물품의 내역을 분석한 결과, 마도 1‧2호선의 주적재품은 곡물 특히 稻類였다.
    마도 1·2호선에 적재된 ‘田出’ 곡물은 세 가지 측면에서 官人들에게 분급된 收租地에서 발생하는 地稅가 아니라 사유지에서 발생하는 지대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첫째, 수송된 稻類는 수취자에 따라 白米‧米‧中米로 구분되어 발송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벼의 도정 정도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개인수조지에서 발생하는 지세는 이와 같이 도정을 달리하여 수취할 수 없다. 둘째, 수송된 곡물은 石단위로 포장되었는데, 각각의 목간과 죽찰에 기재된 곡물에는 석당 斗의 양이 20두·18두·15두·9두 등으로 상이하였다. 생산량의 1/10을 수취할 수 있었던 개인수조지의 지세에서 이런 차이는 발생할 수 없다. 셋째, 목간에 기재된 발송곡물의 양이 소량이라, 반정과 족정 즉 7~8결 혹은 17결 단위로 분급되었을 수조지로 간주하기 어렵다.
    마도 1·2호선에 적재된 곡물이 사유지 혹은 전장에서 발생하는 지대였다면, 목간과 죽찰은 고려시대 사유지 혹은 전장의 지대수취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전장주들은 한편으로는 소규모로 산재해 있는 토지로부터 지대를 수취하였으며, 자신의 전장에서 모든 곡물을 일시에 개경으로 수송하지 않고 필요한 양만큼 배를 이용해 공급받았다. 이는 과도한 수송비와 거주지에 많은 곡물을 보관하기 어렵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당히 많은 양의 곡물을 일시에 수취하기도 했다. 콩 50석 혹은 백미 24석의 사례는 이러한 현상의 반영이었다. 목간과 죽찰에 기재된 발송지는 주로 수취자의 본관지 혹은 본관지 인근이었다. 이를 통해 당시 在京 官人 혹은 在京한 여러 사람들은 본관지 인근에 다수의 사유지를 두고 있었고 본관지에서 필요한 물품을 공급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관지에 있는 사유지는 노비 혹은 예속민에 의해 경작되었으며 경작자들이 직접 지대를 발송하기도 했으나, 마름이 수확물을 수합해 발송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해당지역에서 원활한 지대 수취를 위해 家奴 혹은 家人을 파견하기도 했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13th century, the ships which went to Kye-gyung(開京) was shipwrecked by the roller in Anhungyung(安興梁) located in the Yellow Sea. After about 700 years, in Anhungyung(安興梁) some students inquired into two ships called of Mado 1 and Mado 2, and they found out the very important sources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s when the ships were operated. In the ships, there is a lot of the wooden tags written in the places of dispatch, the senders, the consignor, and the list of freight. We could have much information about the ships due to the tags, and get the important interpretations. One of them is that main freights of the ships are the grains; race, bean and so on.
    There are the debate on character of the grains written in the wooden tags. Some students argued that the grains were the farmland tax from taxation rights, the other insisted that they were the ground rents. I agreed with the latter, for three reasons. First, some kinds of ricesthat were different in degree of milling were written in the wooden tags. The fact of the different degree of milling make us to understand that the grains in the ships were not the farmland tax but the ground rents, for the farmland tax should depend on the defined rule of the collection of taxes. Second, the grains in the ships were packed in unit of the Seok(石). In Goryeo Dynasty, Seok(石) was usually consist of fifteen Do(斗), but the consistence of the Seok(石) written in the wooden tags was various; twenty, eighteen, fifteen. The taxs of state should not make such variety. Third, as we know, the taxation land was widely comperted one for gathering in farmland tax. The grains of the wooden tags is small in quantity, so we couldn't look on them as the farmland tax.
    For the grains written in the wooden tags were the ground rents, the tags give us th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asants and land owner. The land owner have the compartment land in small, the necessary grains only were shipped to the house in which they lived. The the grains were collected from the places, called Beonguanji(본관지), the land owner's home. The land in his home was under control by Marm(마름) who was subject to the land owner. When there was not Marm(마름), they sent subordinates to gather the ground r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