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여성 재현의 서사학적 분석 - 『리나』, 『테러의 시』를 중심으로 - (Narratology Analysis on Representation of Immigration Women - about Rena, Poem of terror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6.06
30P 미리보기
이주여성 재현의 서사학적 분석 - 『리나』, 『테러의 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2호 / 217 ~ 246페이지
    · 저자명 : 연남경

    초록

    이주 문제는 세계의 양극화 현상과 결부되어 있기에 한국 작가가 이주민을 재현하는 일은 윤리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까다로운 난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글은 범지구적 자본주의와 근대세계체제내에서의 여성이주 문제를 다룬 김사과의 <테러의 시>와 강영숙의 <리나> 를 서사적 층위에서 분석함으로써 담론의 주체인 서술자(작가)와 스토리주체인 이주민(인물) 사이의 관계를 추적하여 재현의 한계 혹은 가능성을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리나>와 <테러의 시>는 국가, 젠더, 자본의 카르텔이 형성한 폐쇄회로의 외부 모색이 좌절당한 이주여성의 절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또한 두 작품 모두 기존의 대다수 작품에서 발견되었던 동정과 연민의 재현 방식에 반기를 들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에 전복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일치한다. 그러나 스토리 차원과 담론 차원을 구분해검토해본 결과, <테러의 시>와 <리나>는 여러 지점에서 상당히 달랐다. 먼저 스토리 차원에서 살펴본 이주여성 인물의 경우, <테러의 시>의 조선족여성 제니는 결국 자기 살해에 이르는 가련한 희생자로 남게 된다. 그러나탈북 소녀 리나의 경우 복종을 요구하는 모든 체제를 패러디하고 조롱하는수행적 인물로 그려진다. 다음으로 담론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테러의 시>의 제니는 초점의 주체가 되지도 목소리를 할당받지도 못하는 인물로서서술자와 다른 초점화자에 의해 철저히 대상화된다. 이에 따라 <테러의시>는 이주민 인물의 진정성 있는 재현보다 서술자의 음성으로 전달되는한국 작가의 자의식이 비대해진 소설이 된다. 한편 <리나>는 초점이 서술자에서 리나로 자유자재로 옮겨다니는 것은 물론 목소리도 서술자와 리나가 나눠 갖는다. 서술자와 인물이 이루어내는 목소리의 절묘한 화음으로전달되는 <리나>의 서사야말로 작가와 인물, 한국인과 이주민의 이분법이해체되는 경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서사 층위를 나누어 분석해본 결과, <테러의 시>는 작가의강렬한 현실 대응의식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작가와 이주민 인물의 철저한이분법에 갇혀 버린 데 비해, 스토리와 담론이 이주여성 리나를 중심으로넘나드는 <리나>의 서사는 결과적으로 인물의 역동성을 최대치로 가동하고작가의 의도를 충실히 담아내는 성취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이주민 재현의까다로움이라는 난제에 답하는 하나의 대안이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Poem of terror by Kim, Sa Gwa and Rena by Kang, Young Sook which deal with global capitalism the problem of women’s immigration within modern world system. Representation of them by Korean writers is a very difficult issue despite ethical intention. This paper starts with this critical mind, and examines the limits or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by analyzing works by female writers and tracking relations between the narrator(writer), the main agent of discussion and immigrants (characters), the main agent of story.
    First, Rena and Poem of terror are identical in that they show the despair of immigrant women who are denied the external search for closed circuit formed by state, gender, and capital. In addition, they are also identical in that the two works reject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sympathy and pity which are found in most existing works, and reverse dichotomy of offender and victim.
    However, examination by dividing story and discussion through narratology found that Rena and Poem of terror are quite different in many points. First, as for the character of an immigrant woman in the respect of story, Jenny in Poem of terror who is an ethnic Korean living in China, remains the most pitiful victim who eventually kills herself. However, Rena,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s describes as a character who parodies and mocks all the systems which demand obedience. And the analysis from the discussion perspective, Jenny in Poem of terror is a person who fails to become the main agent of focus, and also a person is denied voice. She becomes thoroughly objectified by a focalizer who is different from a narrator.
    Accordingly. Poem of terror becomes a novel where the Korean writer’s self-identity, which is conveyed through the narrator’s voice rather than sincere representation of an immigrant, is bloated. In the meantime, as for Rena, the focus moves freely from the narrator to Rena, and the voice is shared by the narrator and Rena. The narrative of Rena, which is conveyed through excellent harmony of the voice of the narrator and character, shows the case where the dichotomy of a Korean and an immigrant is dismant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