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이주여성의 배움경험으로서 改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on the Reformatting as Erudition Experience of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1.07
28P 미리보기
다문화 이주여성의 배움경험으로서 改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래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래교육연구 / 11권 / 3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원종숙, 김성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이유로 이주하여 타(他)문화에 적응하며 삶을 사는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배움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이전과 환경이 다른 삶에서의 적응을 위한 배움의 본성, 배움 경험의 의미와 본질, 그리고 배움을 통한 각자 삶의 변화와 쓰임새에 대해 탐색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탐구 중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택했으며, 소수의 사람이 양질의 정보를 제시해야 하므로 비슷한 경험을 하고, 자신의 경험을 드러내 이야기할 수 있는 대상들로 의도적 표집을 했다. 먼저 참여자들이 이주민으로 살아가면서 적응하기 위해 어떠한 배움 경험을 했는지를 기술하고, 그 경험을 통해 어떻게 자신을 재구성하며 다시 살았는지 분석하여, 이주여성들에게 배움 경험과 개조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했다. 이 탐구는 참여자들이 살아온 길을 연구자와 함께 되짚어 살아내며, 앞으로도 살아갈 날들에 관한 이야기다. 연구에 드러난 참여자들의 ‘살기’와 ‘다시 살기’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이주여성들이 이주의 과정에서 대면하는 역경은 좌절이 아닌 인생이란 노정(路程)에서 또 다른 길을 가보는 전환이 됐다. 둘째, 이주여성들에게 ‘한국어 배우기’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욕구를 실현하며, 생존을 위한 과정이다. 셋째, 이주여성들이 배우는 과정에서 얻은 것은 함께한 동행들과 나누는 의식 소통을 통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실현이다. 넷째, 이주여성들은 스스로 배움을 계획하고 실행해 보며 성취감을 느끼고 미래의 쓰임새를 찾게 됐다. 다섯째, 이주여성들의 배움은 개인적 만족감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서로 연결망을 이루어 사회자본이 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이주여성을 이주민으로 보기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하고, 서로의 약함을 보듬으며 배움의 여정을 같이 걸어가는 동행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inquiry was conducted on immigrant women who have immigrated for various reasons and lived their lives adapting to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erudition in order to adapt to a new life, the meaning and essence of erudition experience itself, and the changes and uses of an individual’s life through learning by exploring their erudition experiences. Narrative inquiry was chosen as the primary research method. We used purposive sampling to pick a few individuals who have similar experiences and can talk about their lives in depth and to present high-quality information. First, we had the participants describe what kinds of erudition experiences they had in order to adapt and live as immigrants. Then, we analyzed how they lived their lives by reformatting themselves through those experiences. Lastly, we tried to analyze what erudition experience and reformatting means to immigrant women. This inquiry is about retracing the participants’ lives with the researcher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The inquiry’s conclusion based on the “living” and “living again” of the participants is as follows. Firstly, difficulties these immigrant women faced during their immigration processes turned out to be a turning point for them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change their life values. Secondly, to these immigrant women, “Learning Korean” is a way to express who they are, actualize their desires, and survive. Thirdly, these immigrant women gained social support and self-realiz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ir companions. Fourthly, these immigrant women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found their future uses in the society by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ir erudition. Fifthly, immigrant women’s erudition doesn’t simply stop at personal satisfaction. Rather, it forms a network with each other and becomes a social overhead capital eventually. The inquiry recognizes im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as members of the community that live together rather than just immigrants. It is meaningful to view immigrant women as companions who walk together on the journey of erudition and to take care of each other’s weakne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