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돋음색 훈련에 의한주의 능력 향상과 주의 깜박임 제거 (Removal of Attentional Blink and Attention Capacity Improvement through the Color-Salient Training)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6.01
8P 미리보기
돋음색 훈련에 의한주의 능력 향상과 주의 깜박임 제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8권 / 1호 / 205 ~ 212페이지
    · 저자명 : 홍락균, 최훈

    초록

    일련의 자극들이 연달아 빠르게 제시되는 신속순차제시에서 두 표적을 식별해내려고 할 때, 첫 번째 표적 제시 후 0.2초에서 0.5초 이내에 제시되는 두 번째 표적의 식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주의 깜박임이라고 한다. 최근 연구는 식별성이 증가된 두 번째 표적을 사용한 ‘돋음색 훈련’이라고 하는 훈련과정을 통해서 주의 깜박임이 제거됨을 보고하였다. 돋음색 훈련이 우리의 주의통제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기존의 주장에 반해, 훈련 회기 동안의 반복적인 자극 노출이 야기하는 시지각 학습이 그 주된 이유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돋음색 훈련 효과에 대한 시지각 학습 가설을 검증하고자, 사전 검사 1회기 - 돋음색 훈련 2회기 - 사후 검사 1회기로 구성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체 4회기의 실험 내내 숫자가 표적으로 영어 알파벳 문자가 방해자극으로 사용되었다. 표적으로 사용된 숫자는 총 여덟 개 였는데, 이 중 무선적으로 선택된 절반인 네 개만이 돋음색 훈련에 사용되었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다른 네 개의 숫자를 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훈련 효과가 발생하여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훈련 회기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숫자에 대해서도 훈련 효과가 전이되어 주의 깜박임이 제거되었으며, 이는 돋음색 훈련의 효과가 단지 훈련 기간 동안 표적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것에 따른 지각 능력의 향상이 아닌, 주의 능력이 향상된 결과로서 표적을 탐지하고 방해자극을 억제하는 주의 통제 기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하였다.

    영어초록

    When participants are asked to identify two targets embedded in a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RSVP), they hardly identify the second target that is presented within 200-500ms after the first target. This is called an attentional blink (AB).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AB can be removed by the color-salient training in which the second target within 200-500ms is presented in a salient color.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training effect is caused by an improvement of our attentional control mechanism, which is responsible for both target selection and distractor inhibition. Alternatively, however, the training effect might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visual perceptual learning evoked by repetitive exposure to stimuli during the training. The current study tested these two hypotheses through an experiment that consisted of four sessions: a pre-test session, two color-salient training sessions, and a post-test session, in that order. All sessions employed number targets and alphabet letter distractors in RSVP. During the training, only half of eight numbers (from 2 to 9) were randomly selected as targets. Our results showed that even when untrained numbers, which were not used in the training, were employed as targets in the post-test, the training effects occurred, resulting in removal of AB. It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color-salient training effect occurs not as a result of the visual perceptual learning but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our attentional capa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