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발전주의 주택체제와 중산층 여성주체의 형성 (The effect of developmentalism on the Korean housing regime and the construction of urban middle-class women subject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한국 발전주의 주택체제와 중산층 여성주체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족과 문화 / 32권 / 4호 / 61 ~ 89페이지
    · 저자명 : 최시현

    초록

    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국가 발전주의 속에서 한국의 주택체제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이해하고 국가, 주택시장, 젠더질서가 가족을 매개로 접합해 온 과정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주택체제를 국가정책, 주택시장, 집에 대한 대중적 욕망과 문화 이데올로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젠더질서와의 상호 조응 과정을 분석했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의 발전주의 주택체제 분석을 통해 가족이 역동적 사회기관으로서 도시자본을 구축하고 주택체제의 형성을 매개했으며 발전주의 체제의 미시적 영향력을 확장시킨 물적 단위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물적 단위로서의 가족을 지탱해 온 여성들의 주택실천은 국가와 자본, 시장과 사회제도를 연결했으며,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 부여를 받아왔다는 점이 문화 담론 분석으로 드러났다. 1960년대부터 여성은 저축, 가계부운동의 주체로 발전주의 국가의 호명을 받고 국가 경제를 책임지는 헌신적 가계운영자로서 성별화된 책무를 수행했다. 발전주의 주택체제는 투기를 규제하는 동시에 주택상품화 경향을 부추겼고 도시 중산층 주부들이 가족경영주체로서 계급재생산에서 갖는 경제적 역할은 더욱 강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 도시중산층가족 내 여성주체는 ‘현모양처’, ‘복부인’, ‘주부CEO’ 등으로 재현되었으며, 문화 담론에서 나타나는 비가시화, 전형화, 재가정화 경향은 여성주체의 경제적 기여와 사회적 역할을 가족 안으로 제한하고 여성의 개별성을 삭제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s housing regime has advanced via developmentalism from the 1960s to the 2010s and discusses the process in which the state, the housing market, and the gender order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the family. After Korea’s rapid urbanization, the housing regime attempted to solve the extreme housing shortage. In the 1980s, individual households promoted the family welfare through self-owned housing. In the 1990s, housing speculation became a pressing social issue and revealed a focus on the demand for housing. Since the 2000s, the financing of housing has actively spread. In this process, the role of women in the family changed from a ‘hyeon-mo-yang-cheo’(a woman devoted to her family) to a ‘housewife CEO’ who played a role in mediating the state, the housing market, and the financial sector. The dominant cultural discourse, which reproduced the women subject as mediators, showed patterns of marginalizing, stereotyping, and re-domesticating depending on the period, which in turn limited the economic contribution and social role of the female subject in the family, Furthermore, the discourse constructed the effect of erasing the individuality of women.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housing regime in Korea, the author argues that the family is a material and dynamic institution that builds urban capital and mediates and expands institutions and policies. This process also emphasized that women in the family have played a key role in connecting the state and capital, markets and institutions, and given meanings and values that change with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족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