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Dialogism)과 유아교육적 적용 (Bakhtin’s dialog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2.10
19P 미리보기
바흐친(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Dialogism)과 유아교육적 적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2권 / 5호 / 257 ~ 275페이지
    · 저자명 : 이수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하일 바흐친(Mikhail M. Bakhtin, 1895~1975)의 대화주의 이론(dialogism)이 유아 문해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미하일 바흐친은 1920년대 러시아 문학비평가이며 그의 이론은 오늘날 와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비록 대화주의 이론이 교육이나 발달에 대한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이론을 재검토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대화주의 이론은, 한 개인의 언어 선택이 대화 상황에 대한 평가나 사회적 규칙과 관련 있음을 이론화한 것이다. 바흐친의 이론을 토대로 볼 때, 유아의 언어 사용은 인지적 기술과 같은 단일의 발달심리학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규칙을 수행함으로써 학습 공동체의 일원이 되어가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은, 유아와 교사가 대화의 참여자로서 서로가 서로에게 대화 맥락이 되어주며 교실도 유아와 교사 공동으로 형성할 공동체임을 시사한다. 또한 그의 이론은 대화가 가능한 자유로운 분위기의 교실에서 유아들이 풍자나 패러디, 희화화 등으로 이념적 우위의 담론을 도전할 수 있도록 허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Mikhail M. Bakhtin’s (1895~1975) concept of dialogism can frame our understanding of early literacy education as social practices. Bakhtin, a Soviet literary theorist in the 1920s, has, in recent decades, gained more and more significance as his theory has been recognized in various fields beyond literature, such as education, anthropology, and feminism. In this vein, Bakhtin’s notion of dialogism, which is the dialogic interaction of responding to and being responded to by others, has been appli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Since one’s choice of words always involves an interlocutor’s evaluation of a dialogic situation which exists within a set of social rules, young children’s voices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ir dialogic relations. An individual’s choice of words is not just an exercise of cognitive skills; rather, it indexes the self as a member of various learning communities by implementing social rules for ‘what’ an expression means and ‘how’ that meaning is represented. Applying this approach to the student-student and student-teacher relations that occur in the classroom, I argue that teachers and children provide dialogic contexts for each other and that they co-construct discursive contexts. Viewing classroom interactions as dialogic relations implies that classrooms ca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sites in which children develop a sense of belonging to their learning community. Finally, viewing classroom relations as dialogic in nature suggests that we should create a classroom environment which is carnivalesque in a Bakhtinian sense; that is, one that allows children to challenge ideologically dominant voices (in other words, dominant viewpoints and ideas) by engaging in and producing satire, parody, or caricature in play, discussion and creative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