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북지역 동양척식 이주농민의 정착과 존재양태 (The Settlement and Living Aspects of the Migrants of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in the North Kyȏngsang Provin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3.05
36P 미리보기
경북지역 동양척식 이주농민의 정착과 존재양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51권 / 227 ~ 262페이지
    · 저자명 : 김병수

    초록

    지금까지 동양척식주식회사(이하 동척)의 이민사업에 대한 직간접적인 연구는 많이 축적되었지만, 이민사업의 결과 탄생한 이주농민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이는 이민사업이 조선농민의 대대적인 반발을 초래했기 때문이고, 사업으로 배출한 이주민의 수가 소기의 목표에 비해 턱없이 적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동척이주민들은 조선에 거주했던 일본인 농민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던 만큼 그들의 삶의 궤적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경북지역에 주목하여 동척농민들의 전반적인 분포와 사회적 활동들을 분석한다. 우선 그들은 단체이민을 권장하던 초기(1912~1915)에는 달성, 영천, 경산 등 대구 인근의 교통상의 요지에 주로 배치되었지만 단체이민이 폐지된 후기(1916~1921)에는 여러 지역에 산발적으로 소규모로 배치되었다. 둘째, 자작농 이민들 중 일부는 조선인들과 함께 조합을 결성하여 일본식 농법을 전파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농법 전이는 오직 제한적인 성과를 거두었을 뿐이었다. 우월하다고 간주된 일본식 농법은 조선의 기후와 환경에 맞지 않아서 효과가 미미하였고, 또한 동척이 이민 사업을 종료함에 따라 이주민들에 대한 보호와 감독이 사실상 없어지면서, 이주민들은 조선인들을 동화시키기보다는 자신들만의 조합을 만들어 이주민들의 복리와 구제에만 힘썼다. 마지막으로, 지주 이민 야마구치 겐조의 경우 동척의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기보다는 자신의 성공을 위해 동척 사업을 활용한 측면이 두드러진다. 동척 이민사업을 기반으로 상주에 정착한 후 그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성장하여 도회의원이 되는 등 지역유지가 되었다. 그러면서 경제적 이해관계를 함께 하는 조선인과 연합하고 협력하기도 했지만, 총독부의 시책에 어긋나는 조선인 대표들과는 갈등을 겪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development aspects and result of the migration through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ODC) in order to re-examine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using a bottom-up approac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projec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tion discourse, agricultural policies, and the land management in the early colonial Korea. However, they did not take account of the farming settlers emerged as a result of this project. The ODC’s settlers in Korea have been estimated at around 4,000 households, representing 35 to 40 percent of all Japanese farmers, which requires more attention than dismissing it as a failure not to meet the original plan. As a case study, therefor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North Kyȏngsang province; their overall settlements and social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days of the project when group immigration was encouraged in 1912-1915, settlers were mainly deployed in transportation hubs near Daegu, but In the later(1916-1921), they were dispersed sporadically in small groups into several remote villages. Second, some of farming settlers organized an association to instruct the Korean peasants the Japanese modern farming. These associations were formed by the ODC or settlers; in both cases they received some assistance from the ODC. Their assimilation of farming, however, achieved only limited results. This was because Koreans preferred the traditional one suitable for the climate and environment. Further, as the ODC’s projects ended, protection and supervision for settlers virtually came to disappear, so they sought their own welfare and relief rather than trying to assimilate Koreans. Lastly, Yamaguchi Genzou, a typical example of landowner settlers, utilized this project for his own success rather than meeting the ODC’s colonial purposes. Based on this, Yamaguchi strengthened his economic and social position in the region. He united and cooperated with Korean landowners or capitalists who shared economic interests, but also had conflicts with Korean representatives who went against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