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나라 樂舞의 舞態 양상과 舞具의 상징적 의미 (Symbolic Meaning of Dancing Form and Materials of Ju Dynasty's AKMU)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05
20P 미리보기
周나라 樂舞의 舞態 양상과 舞具의 상징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1호 / 203 ~ 222페이지
    · 저자명 : 이화진

    초록

    본 논문은 중국의 고대국가 주周나라의 樂舞[大武]에서 연출된 춤과 舞具를 분석하여, 舞態와 무구사용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첫 번째는, 악무에서 춤이 연출된《大武》의 연원과 이해를 살피고, 두 번째는, 지금까지 파악되지 못한《大武》의 춤 방향(절차), 춤 구성, 춤 동작 등을 도출시켜, 세 번째는,《大武》에서 춤과 함께 사용된 무구의 종류와 의미를 밝힘으로써, 마지막 네 번째에서는 앞선 논의를 토대로《大武》에서 춤과 무구와의 유기적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大武》의 1단계[一成]에서는 군사들의 대열을 상징한 무용수들의 숫자와 의미를 밝혔고, 이어 춤이 진행된 방향과 춤이 구성된 동작의 步法을 추출하였다. 2단계[二成]에서는 樂舞에서 연출된 군사적, 전투적인 동작들, 즉 뛰어 오르고[踊躍用兵], 치고 찌르며[击刺狀], 빠르게 회전하는[速回] 동작을 추출했으며, 이런 동작은 劍舞와 戈舞의 형식을 갖춘 춤으로 드러났다.
    3, 4단계[三成・四成]에서는 群舞를 바탕으로 춤이 진행된 방향을 밝혔고, 5단계[五成]는 춤 동작의 의미와 악무에 사용된 음악[亂]을 해석하였으며, 마지막 6단계[六成]에서는 왕에 대한 예후를 갖추는 것을 끝으로《大武》의 모든 과정에서 드러나는 춤 양상을 구체적으로 추출하였다.
    한편《大武》에서 사용된 舞具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이 규명하였다.《大武》는 <武舞>의 형식을 갖추었기 때문에 춤에서 舞具의 종류는 ‘방패’, ‘칼’, ‘창’, ‘도끼’를 상징한 것들이었다. 이에 무구는 무기 용도뿐만 아니라 악기[鐸]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는 전쟁 승리를 도우는 수단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大武》에서 舞具를 사용한 춤은, 도끼를 들고 추는 춤[斧鉞舞], 방패와 도끼를 들고 추는 춤[干戚舞], 방패와 칼을 들고 추는 춤[干刀舞], 방패와 창을 들고 추는 춤[干戈舞・干矛舞], 방울을 들고 추는 춤[鐸舞]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논급되지 못한 周나라의 大樂舞인《大武》의 무태와 무구 양상을 밝힘으로써 中國古代樂舞美學 연구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directing form, composition, direction and motion of dance in detail and utilization, meaning of dancing material that have not been mentioned so far by analyzing dancing form and material being directed in AKMU of Ju Dynasty, an ancient kingdom of China. That is to say that its objective is to finally extract foundation of dance, progression, thinking method of dance being used in Ju Dynasty's AKMU based on previous discussion by suggesting first, an origin for understanding DAEMU being emerged in AKMU in order to extract dancing form elements of AKMU, second, dancing form including direction (procedure), dancing composition, motion directed in DAEMU that were not identified so far through GOGU and third, type, usage and meaning of dancing material being utilized in AKMU.
    As its result, at 1st stage of DAEMU, number and meaning of dancers symbolizing military line were clarified and dancing direction, motion and step method were extracted. At 2nd stage, military, militant motions, that is, jumping, hitting, stabbing and rapidly rotating motion being directed in AKMU exposed a sword, spear dancing form.
    At 3rd, 4th stages, directional nature of dancing was clarified in detail based on group dance and at 5th stage, meaning of dancing motion and musical meaning used in AKMU were analyzed and finally at 6th stage, as a finale of showing a courtesy to the king, the entire process of dance being used in AKMU was clarified in detail.
    In addition, regarding dancing material being used in DAEMU, it was analyzed as following meaning. As DAEMU was played in a military dancing form, type of dancing material was clarified to be 'shield', 'sword', 'spear', 'ax' and 'bell' and as a dance using dancing material, dancing with shield and ax, that with shield and sword, that with shield and spear and that with bell were extracted.
    As an aspect of dance and dancing material of DAEMU that was grand AKMU of Ju Dynasty but has not been mentioned so far was clarified in detail,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ould provide an opportunity of being able to contribute to research on AKMU aesthetics of ancient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