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노후불안 (Social Capital and Aging Anxiety among Married Migrant Wom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4.12
20P 미리보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노후불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정과삶의질학회
    · 수록지 정보 : 가정과삶의질연구 / 42권 / 4호 / 115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최희정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확산 속에서 결혼이주여성이 형성하고 있는 사회적 자본과 노후불안 간의 관련성을 탐구한다. 결혼이주여성의 체류장기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노후불안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주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자본을 사회적 모임 참여와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은 1) 네트워크 없음 2) 모국인과의 결속형네트워크 3) 한국인과의 교량형 네트워크 4) 두 집단 모두와 관계를 보유한 혼합형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노후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21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중 30세부터 60세 미만에 해당하는 결혼이주여성 10,450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이 사회적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노후불안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없는 결혼이주여성은 가장 높은 노후불안을 경험하고, 일자리 영역에서는 네트워크가 없는 집단과 결속형 네트워크 간의 노후불안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결속형 네트워크보다는한국인과 네트워크를 형성한 교량형 또는 혼합형 네트워크(즉 통합형 네트워크)를 보유한 결혼이주여성의 노후불안 수준이 더 낮았다.
    넷째, 일자리, 자녀 교육, 여가 및 취미생활 영역에서는 한국인과 네트워크를 맺고 있는 통합형 네트워크만이 결혼이주여성의 노후불안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이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노후불안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그중에서도 한국인과의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심의 대상 밖이었던 결혼이주여성의 노후불안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이 모국인 네트워크에만 의존하지 않고 한국인 지역주민들과의 사회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정부의 다문화정책에서 핵심적인 방향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다양한 지역사회 활동과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고, 이러한 참여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궁극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노후불안을 완화하고 나아가 이들의 성공적인 노후에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ging anxiety among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against the backdrop of the country’s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Despite the long-term residence of many of these women, little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ir aging anxiety. Social capital is examined through two dimension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types (categorized as no network, bonding network with co-ethnic migrants, bridging network with native Koreans, and combining network with both groups). Using data from the 2021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NSMF), the study analyzed a sample of 10,450 married women aged 30 to 59.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s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social participation were linked to lower levels of aging anxiety. With regard to network types, married migrant women without any networks experienced the highest levels of aging anxiety, and with bridging or combining networks—that is, both categorized as integrating networks—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ging anxiety compared to those with bonding networks.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native Koreans, in potentially reducing anxiety about later life. Interestingly, when considering social networks related to employment, children’s education and activities only the network formed with Koreans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ging anxiety. This study makes a valuable contribution by addressing the overlooked issue of aging anxiety among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multicultural policies should focus on creating opportunities for these women to build social ties with native Koreans.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various community programs and activities can foster social capital, which in turn, may alleviate their aging anxiety and support successful ag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