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대학생의 한국춤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州)의 대학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f Experiences Gained From Learning Korean Dance: Among College Students in Americ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12
37P 미리보기
미국 대학생의 한국춤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주(州)의 대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용역사기록학 / 39권 / 59 ~ 95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은

    초록

    본 연구는 미국 학생이 한국춤을 배우면서 경험한 것들을 질적 차원에서 알아보기 위해, 미국 학 생들의 한국춤에 한 인식, 한국춤 학습 후 변화, 한국춤 학습경험의 의미에 해 탐색하다. 이를 위해 미국 동부 매사추세츠 주에 위치한 S학의 학생들 6명(미국인 4명, 중국인 1명, 아프리카인 1명) 을 상으로 심층면담(반구조화, 비구조화 면담)을 실시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약 6개월 동안(2014년 9월 16일~2015년 3월 3일) 연구자가 진행한 한국춤 수업에 총 19번 참여하고,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공통된 코드별로 범주화하으며, 도출된 코드를 바탕으로 주제를 개념화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학생들의 한국춤에 한 인식은 학습전과 후로 구분된다. 학습 전에는 1) 한류를 통해 접하게 된, 흥미롭지만 낯선 춤, 2) K-pop 댄스와는 다른 우아하고 아름다운 춤이라고 인식하고, 학습 후에는 1) 유연한 흐름 속에 절제된 힘이 있는 춤, 2) 내면의식을 깨우고 자신을 포함한 주변과 소통하는 춤, 3) 신중한 움직임을 통해 마음과 정신을 치유하는 춤, 4) 신체 에너지를 내부로 응축시키 는 춤, 5) 온 몸의 움직임이 유기적으로 조화되는 춤, 6) 한국인의 삶과 철학, 예의 정신이 함축되어 상징화된 춤이라고 인식하다. 둘째, 미국 학생들의 한국춤 학습 후 변화는 4가지로 구분된다. 1) 신체 기능의 향상(근력, 신체 제어능력, 협응력, 균형감각, 개인 표현력) 2) 인지 및 정서 기능의 향상(인지력, 기억력, 인내력, 집중 력, 창의력, 소통능력, 책임감, 감정 조절 능력, 유감, 배려심) 3) 긍정적 태도와 관점 소유 4) 한국춤 의 체화로 일상 변화(타인 존중, 우아한 자세, 생활의 여유)를 경험했다. 셋째, 미국 학생들에게 한국춤 학습경험은 1) 새로운 것에 한 도전과 성취, 2) 한 걸음 더 가까워 진 한국문화, 3) 한국을 알리는 문화 전도사, 4) 전문가가 된 것 같은 특별한 경험의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learning Korean dance among college students in America. The research questions how people of other cultures view changes in Korean dance through study, what beneficial changes occur, and how experiences are meaningful to them.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primarily relied on in-depth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4 Americans, 1 Chinese, and 1 African), in Massachusetts, who studied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a series of 19 classes, beginning on September 16th, 2014 and ending with a performance on March 3rd, 2015. All interviews were fully transcribed before the files were segmented and the subjects conceptualized using assigned co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before learning Korean da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it to be an interesting but unfamiliar dance, which they recognized from Korean Wave, and an elegant and beautiful dance, different from K-pop. After learning Korean dance, they perceived it to have flow and moderate strength. They believed that it allowed them to recognize their inner consciousness and be aware of their surroundings,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both. Participants also felt that the dance healed the spirit through deliberate movement, that it allowed the body’s energy to increase through concentration, that it coordinated the body’s movements organically, and that it symbolized the lives, philosophy, and respect for creation of the Korean people. Second, participants changed in four beneficial areas through study of Korean dance: 1) their strength, control, coordination, balance, and individual expression improved; 2) their awareness, memory, patience, focus, creativity, ability to communicate, sense of responsibility, mental coordination and control, and thoughtfulness improved; 3) they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and perspective; and 4) they felt that they embodied the qualities of the Korean people, such as respect, elegance, and slowing down. Third, learning Korean dance was meaningful to the participants in the following four areas: 1) it was a challenge and an accomplishment, 2) they gained familiarity with Korean culture, 3) they became ambassadors for Korean culture, and 4) they felt both special and professio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역사기록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