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택적 주의 관점에서 본 조명에 의한 주의 자원과 공간 기억의 변화 (The Change of 'Attention Resources’ and 'Space-Memory' by Lighting focusing on 'Selective Attention')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6.04
9P 미리보기
선택적 주의 관점에서 본 조명에 의한 주의 자원과 공간 기억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5권 / 2호 / 41 ~ 49페이지
    · 저자명 : 서지은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선택적 주의’가 ‘작업 기억’을 통해 공간에 대한 기억과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공간에서 선택되어진 ‘주의 요소’에 따라 ‘공간 기억’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조명이 ‘선택적 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에서 이용자들의 ‘선택적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주의 인자’는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형태’, ‘재료’, ‘대비’, ‘복합’이다. ‘형태’는 ‘구조’와 ‘가구, 오브제’로, ‘재료’는 ‘패턴’과 ‘색채’, ‘대비’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요소로, ‘복합’은 이들의 복합적 표현을 의미한다.
    둘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주의 인자’에 관하여 정리해보면, 세부적인 ‘주의 인자’는 공간 이미지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카테고리 별로 파악해보면, 낮의 이미지의 경우에 ‘형태’가 중요한 ‘주의 인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들이 공간을 지각하고 평가할 때 공간의 형태적 측면에 주의를 기울인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가 이용자들의 공간에 대한 만족과 특정한 지각을 유도하고자 할 경우, ‘형태’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조명과 관계된 밤의 이미지에서는 ‘주의 인자’가 다르게 나타나고, 그 종류도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밤과 낮의 시간차에 따라 다른 공간 지각을 유도할 것인지 또는 동일한 공간 지각을 유도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과 각 ‘주의 인자’를 파악한 후 디자인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이용자들에게 만족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주의 인자’에 따라 이용자들의 ‘공간 기억’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통해서, 디자인 결정 과정에서 모든 이용자들에게 유사한 공간 지각을 유도하고자 하는지 또는 다른 지각을 유도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긍정적인 결과를 위해서 동일한 공간 지각을 유도하고자할 때는 공간 전체의 통일된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공간 내에서 ‘주의 인자’를 먼저 추출하고 각 인자들이 이용자들에게 주는 영향을 고려한 개별적인 디자인적 접근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주의 인자’ 별 차이가 있는 공간 지각이 낮과 밤에 따라 변화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각각의 ‘주의 인자’와 관련된 ‘공간 기억’이 무엇인지 또한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와 지각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계획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한된 공간이미지와 응답자로 실시된 설문 결과를 토대로 분석된 것으로 공간 계획에 일반화하는 것에 한계를 가지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는 공간에 대한 정성적인 이용자들의 감성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and to compare to the difference of 'selective elements' and 'space-memory' focusing on the theory, 'selective attention' through the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lighting is considered a important factor in the change of 'selective elements'.
    this survey is to find the selective elements of participants and to measure the spatial sensitivity of respondents through 'self- test'. The analysis in this study i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 t-test and one way ANOVA by SPSS program 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attention-element' could be classified with 4 types, 'shape', 'material', 'contrast' and 'combination'. 'shape' could divide into 'structure' and' furniture and object'. In case of 'material', it could section with 'pattern' and 'color'. Secondly, through the results of study, 'attention-element' is different each space during the day in detail. But we could know that 'shape' is the important element of the 'attention-elements' during the day through comparison of this result. That means users consider this as a important factor when they evaluate the space. Therefore, it is effective way designers to consider 'shape' as the first element when they want to conduct the special sensitivity of users in the space through planning. On the other hand, what selective elements of users are different by the lighting situation should be acknowledged by designers. And they should think the kinds of selective elements are more various when lighting turns on than turns off.. Thirdly, through the results such as the meaningful difference of space-memory of users according to the change of 'attention-elements', designers should judge about which kind of feeling of users to the space do you want lead in the design process. For the effective feedback between spaces and users to induce the same emotion of users, designers need to consider the unified design and the individual design both. Also, we will regard the differences in the users' emotion to the space according to the lighting situation when we design the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