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해 홍길주의 글에서 언어 ・ 문자의 문제 (The case regarding language and letters from Honggiljoo(洪吉周)'s writ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5.09
28P 미리보기
항해 홍길주의 글에서 언어 ・ 문자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91호 / 251 ~ 278페이지
    · 저자명 : 최원경

    초록

    우리는 언어문자를 매개하여 인식된 세계를 해석하고 표현할 수가 있다. 인식을 통해 파악된 표상을 언어와 문자로 드러냄으로써, 세상과 우리는 연결이 된다. 沆瀣 洪吉周는 당대 대표적인 문장가로써, 문장을 통해 세상을 읽고 전달하는 데 평생을 보낸 것으로 자임한 바 있다. 그에게 언어문자는 글의 소재로써의 사물을 표현하는 단순한 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실상을 잘 반영하여 세상을 이야기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체였던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자신이 인식한 세계에 보다 본질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여러 면에서 회의적인 고민을 해왔던 홍길주가 언어문자에 관하여서도 반성적인 접근을 하였음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반성적 접근이 항해의 세계인식태도와 연결되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검토하면서, 문장가로써 세상을 표상해 내는 데 있어서 기울였던 고민과 노력과도 연결하여 고찰해 보았다.
    홍길주의 글 중에서는 장자의 세계인식태도와 비교하여 생각해 볼만한 중요한 내용들이 등장하는 만큼, 장자의 언어관도 참조할 만한 부분들이 있다. 홍길주는 당시 형인 홍석주로부터 장자와 견줄 만하다는 평까지 받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것은 단순히 장자와 유사한 문학적 스타일에 그쳤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인 철학을 표현하는 적극적인 방법으로써 문장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장자는 세상을 절대적으로 분별하여 파악하려는 시각에서 벗어나, 단정할 수 없고 분별하기 쉽지 않은 상대적인 모호함으로 세상의 본질에 다가가려고 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홍길주의 인식관에서도 찾아볼 수가 있다. 우리가 세상을 분별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도구인 ‘언어문자’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홍길주가 반성적인 접근을 하였다는 점은, 그의 物에 관한 고민과 세상을 인식하는 자세와 충분한 관계가 있으며, 그 반성자체로 의미가 있다.
    본고는 은유, 비유 등의 『장자』와 유사한 수사학적 방법으로 씌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이 열려 있는 글과 함께 이를 뒷받침할 만한 언어・문자관과 가치관을 피력한 글들을 중심으로 홍길주의 문장을 통한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How can we formulate our lives and the world we live in when we want to express and define its viewpoint? This article will try to explore this ques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way Hong expressed and defined it by using written and verbal language. The way Hong describes it, is that making use of language to express the world surrounding us isn't that simple or easy as it may seem. His thoughts are that language and the letters we use to form that language is not as merely as a simple method to express the objects we perceive. Moreover, it is an important medium to reflect and contemplate on the real aspects of the world, its objects and our lives.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how Honggiljoo(洪吉周), who questions and is doubtful on how to approach the world and its objects, uses the essence of his perception through the self-reflecting approach and reflective thinking concerning language and its letters. It also tries to connect his perspective and thoughts regarding the world and its objects.
    Are the world and the objects surrounding us not fixed but changeable? It can be argued that language as such makes the objects fixed but if that is the case the objects might be distanced from its essence for the character of the language is vague. The changeable character of the language and its vagueness are connected because language itself is a changeable object, like all other objects.
    All objects in the world don't have a fixed entity which is similar to TAO for TAO does not have its own entity.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other objects (i.e. language and letters) to capture the object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TAO. This is connected with Hong's effort but also agony for both 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world as a writer.
    Hong compares a book with a mirror due to the fact a mirror will directly give a reflection of the object when it is being read. And each time one reads a book, even if it is the same book over and over again, the book and its content and the way we perceive the letters and words will change. Thus the ever changing image which is reflected by the book to its viewer is similar to a mirror. How we express the world and the objects surrounding us by making use of language and letters, when writing and reading books will essentially lead into TAO explaining TAO. The TAO mirroring itself is the essence of all repetition and the changes we perceive will alter the awareness of our state of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