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공무원의 직권남용을 중심으로 (Malfeasance in Office and the Obstruction of the Exercise of Right – Focusing on Public Officer’s Official Misconduct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공무원의 직권남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찰법연구 / 17권 / 2호 / 23 ~ 50페이지
    · 저자명 : 최병천

    초록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의 성립범위는 입법례와 학설 및 판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미국 루이지애나 주의 직권남용죄(malfeasance in office)는 공무원이 의무를 불이행하거나 위법하게 수행하면 성립한다. 우리나라의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는 더 나아가 타인으로 하여금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거나 권리행사를 방해하여야 성립된다.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는 보호법익을 국가기능의 공정한 행사라고 보면 국가기능의 공정한 행사에 대한 침해만으로 성립하지만, 개인의 자유와 권리도 보호법익이라고 보면 개인의 자유와 권리까지 침해되어야 비로소 성립할 수 있다. 보호법익에 대한 보호의 정도가 침해범인지, 위험범인지에 대해서도 견해가 나뉜다.
    직권남용의 성립요건에 관한 학설로는 상대방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되면 족하다는 견해, 직권을 행사하여 법률상, 사실상의 부담 내지 불이익을 발생시키면 된다는 견해, 직무상의 권한을 불법하게 행사하여 상대방이 이를 인식함으로써 그의 의사에 작용하여 영향을 미칠 것을 요한다는 견해 등이 있다.
    우리 판례는 대체로 공무원이 일반적인 직무권한을 가지고 그 권한을 이용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공무원의 일반적인 직무권한 범위 내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의무 없는 일을 하게 하거나 권리행사를 하지 못하도록 한 경우에는 직권남용이 인정되지만, 공무원이 그 직무권한에 속하지 아니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직권남용을 인정할 수 없다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판례의 위와 같은 기준에 따르면 공무원이 권한도 없이 하는 행위가, 권한은 있지만 그 권한을 부당하게 행사한 행위보다 더 위법하다고 보아야 함에도 전자에 대해서는 범죄불성립, 후자에 대해서는 범죄성립이라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 직무권한 없이 한 행위라는 이유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의 성립이 부정된 사례들에 관하여, 판례가 공무원이 일반적인 직무권한 없이 한 행위라고 판시한 부분은 상대방이 의무 없이 행하거나 권리행사를 방해당한 것에 해당하고, 상대방으로 하여금 의무 없는 일을 하거나 권리행사를 방해당하도록 사실상 강제한 공무원의 지위 내지 의무위반이 일반적 직무권한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의 성립에 관한 해석의 중점은 공무원의 그러한 일반적 직무권한의 행사가 직권남용을 구성하는가로 옮겨가야 한다. 직권남용을 긍정하기 위해서는 판례가 제시하는 것보다 상세한 기준을 세워 구체적 타당성을 기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establishment of the obstruction of the exercise of right varies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academic theory, and precedents. In Louisiana, a stat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willful misconduct or neglect of duty by public officers or public employees is enough to constitute malfeasance in office. The obstruction of theexercise of right in Korean criminal law is established when government officials force others to do what isn’t their duty or when officials hamper others' exercise of right.
    If legal interests can be seen as a fair exercise as a function of the government, then the obstruction of the exercise of right is fulfilled when there is an infringement on the just exercise of the function of the government. Also, if the freedom and rights of individuals are considered as legal interest, then the obstruction of the exercise of right is established when both of them are infringed as well.
    There are disputes on to what extent do legal interests need to be protected. Some say that only protection from endangering offenses which requires actual infringement on legal interests is needed to constitute crime, while others see infringing offenses, in other words, the mer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legal interests is enough to constitute crime.
    There are conflicting theories on what malfeasance in office consists of. Some argue that it is only applicable when the right and freedom of others is restricted, while some claim that practically burdening or disadvantaging others is enough. Others believe that illegally exercising one’s authority to exert influence on others can be seen as malfeasance in office.
    Precedents in Korea acknowledge that there have been malfeasance in office when public officers or public employees use their authority to force others to take actions or cease their exercise of rights within the public officers’ general scope of responsibility.
    However, when the forced actions or cessation of exercise of rights are outside their general scope of official responsibility, then the act cannot be considered to constitute malfeasance in office. Following such precedents, public officers’ or public employees’ actions without authority are not crimes, while actions within their authority are crimes even though the former should be considered more illegal than the latter.
    On the above cases, precedents have ruled out the constitution of obstruction of crime when public officers’ or employees’ actions when the actions they intended were not included in their scope of authority. However, considering that public officers and employees were able to obstruct rightful exercise of rights or force actions due to the authority vested in them, not only should the coercion be considered a result of their scope of authority, the constitution of obstruction of right must be acknowledged as well. The constitution of obstruction of the exercise of right needs to be judged by more detailed standards on malfeasance in office than the cases which acknowledges constitution of malfeasance in off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