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테미스토클레스의 반역죄 재판 (The Treason Trial of Themistocl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09.09
41P 미리보기
테미스토클레스의 반역죄 재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전학연구 / 37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변정심

    초록

    아테네의 뛰어난 정치가로서 살라미스 해전을 승리로 이끌어 그리스
    를 구원한 영웅으로 추앙받던 테미스토클레스가 조국을 배반한 반역자로 전락
    하게 되는 재판의 전말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고는 단편적으로
    남아있는 고대 사료와 근대 사가들의 연구 성과를 분석하여 반역죄 재판의 헌
    정사적 위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사건의 배경을 알아보고, 기소자 레오
    보테스의 신상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원인 파악하였으며, 반역죄 기소 사건이
    일어난 연대 및 재판권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테미스토클레스는 반스파르타
    외교노선을 추진하다가 아테네에서 도편추방당한 후에도 아르고스로 가서 민주
    정자들의 도움을 받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반스파르타 연합체 형성을 고
    무하였다.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동맹 지배권이 위협을 받게 되자 섭정 파
    우사니아스와 공모하여 반역을 도모했다는 이유로 테미스토클레스를 처벌하도
    록 아테네에 요구하였다. 테미스토클레스와 정치적 숙적관계였고 그의 반스파
    르타 외교노선에 반대했던 알크마이온가(家) 출신 레오보테스가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였다. 기원전 470년 봄 도편추방당한 테미스토클레스는 아르고스에서 체
    류하던 중에 기원전 467/6년 섭정 파우사니아스의 사망 후 아르고스를 떠나 페
    르시아로 도주하기 시작하여 기원전 465년 후반 소아시아 에페소스에 도착하였
    다. 테미스토클레스의 반역죄 재판은 국가에 반하는 중대한 범죄에 대한 고발
    조처인 에이산겔리아 소송으로서 민회에서 관할하였다. 반역죄 재판은 페르시
    아 전쟁 후 스파르타에 대한 외교노선을 둘러싼 아테네 정계의 갈등과 향후 델
    로스 동맹 지배권을 바탕으로 그리스의 패권을 장악하여 해상 제국을 형성을
    나가는 과정을 나타낸다. 페르시아 전쟁 후 민회와 배심원법정의 권한이 강화
    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details of Themistocles’ condemnation for treason are notoriously
    difficult questions on which there is little agreement.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ackgrounds of the condemnation for treason, character of
    prosecutor Leobotes, the date of Themistocles’ charge of treason, and the
    jurisdiction for the case of eisangelia(impeachment). From this approach,
    all the ancient sources and the modern articles were carefully analyzed.
    Points of this paper are the followings.
    On being ostracized, Themistocles went to live in Argos, where he
    must have had friends at least from the time of his support for Argos at
    the Amphictyonic Council debate. He began to make trips around
    Peloponnese. It has been conjectured that he was engaged in stirring up
    opposition to Sparta in the smaller states of the Peloponnese, and it is
    unlikely to be a mere coincidence that there occurred political changes
    to a more democratic form of government in Elis and Mantineia in the
    late 470’s. There grew across the Peloponnese and anti-Spartan alliance.
    The Spartans could not long tolerate this threat to their own conservative
    dominance in the area, and so they began to look for a way to engineer
    complete overthrow Themistocles. Spartans’s Athenian friends, agreed to
    cooperate, and an expedient against him was soon found.
    Themistocles was impeached by Leobotes, son of Alcmeon, of Agryle.
    An Alkmeon was archon in the year of 507/6 B. C. Alkmeon archon
    has been identified with the farther of Leobotes, and both have been
    recognised as members of house of the Alcmaeonid genos. Leobotes was
    the name of an Agiad king in Sparta, but it is otherwise unattested in
    Athens of Attica. For this man it was surely programmatic, advertising a
    family link or interest. This family may have been Spartan proxenoi,
    “public friends”, at Athens.
    Themistocles was ostracism by 471/0 B.C. He had his abode in Argos.
    Pausanias died in all probability 467/6 B.C. The Spartans sent ambassandors
    to Athens and accused Themistocles of a share in the medism of
    Pausanias. Hearing that he has been condemned for treason, Themistocles
    begins to flight to Persia. Then came the counterrevolution in Argos, by
    which the old dominant families recovered control, and Themistocles no
    longer felt safe in the changed Argos. Themistocles’ arrival in Persia can
    be dates securely to late 465 B.C. or early 464 B.C. Thus the treason
    trial of Themistocles may have occurred in 467/6 B.C.
    The usual procedure for bringing charges of treason was known as
    eisangelia, impeachment. The prosecution of Themistocles was formally
    an eisangelia. In accordance with a provision of Solon the body which
    had jurisdiction to hear charges of treason, bought by this procedure,
    was the Areopagus almost certainly still retain this jurisdiction,
    exclusively, in the early fifth century. But the Assembly was the body
    which condemned Themistoc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