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밀교 진언 신앙의 실례 -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다라니 - (Examples of Esoteric Buddhism Mantra Faith in the Koryo Dynasty - A Study on the Dhāraṇī from the Seated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of Jawun-Sa Temple in Gwangju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30 최종저작일 2025.02
38P 미리보기
고려 밀교 진언 신앙의 실례 -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다라니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13호 / 135 ~ 172페이지
    · 저자명 : 문상련

    초록

    본 논문은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에서 수습된 다라니 3종의 내적 구조를 밝힌 것이다. 먼저 <여의보인대수구다라니 범자 군다라상>(如意寶印大隨求陁羅尼 梵字 軍陁羅相)은 중국 당대(唐代) 판본을 변형시켜 제작된 것임을 말하였다. 또한 이 다라니에 실린 32종의 장엄물 도상은 『보변광명청정치성여의보인심무능승대명왕대수구다라니경』에 실린 다라니의 서사(書寫) 내지 결단(結壇) 관련 규범을 구현한 것임을 말하였다.
    한편 기존 연구자들이 <십이천만다라> 내지 <삼신진언 다라니>라 칭했던 <일체여래전신사리보협진언> 다라니의 명칭을 바로잡았으며, 법신 비로자나불의 종자(種字) 아()자가 보협인다라니 중앙에 쓰여진 원리를 설명하였다. 또한 다라니 외구(外區)에 진언의 독송 규범을 전하는 예를 발견하여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진언의 독송 의궤(儀軌)를 찾을 수 있었다.
    이외에 <□□진언 무진장진언 등 수도 진언 자륜>에 실린 11종 진언을 분석했으며, 하나의 다라니에 여러 진언이 복합되어 쓰인 예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원(願)과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three dhāraṇīs found in the Seated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of Jawun-sa Temple in Gwangju. The study first showed that “Ruyi bao yin da suiqiu tuoluoni fanzi juntuoluo xiang” (如意寶印大隨求陁羅尼 梵字 軍陁羅相) was made by altering the version published in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icons of 32 majestic articles for ornamentation in the dhāraṇī materialized the norms related to the writing or establishment of the altar in the dhāraṇī of th Pubian guangming qingjing chisheng ruyi bao yin xin wuneng sheng de mingwang da suí suiqiu tuoluoni jing (普遍光明清淨熾盛如意寶印心無能勝大明王大隨求陀羅尼經).
    The investigator corrected the name of Ratnakarandaka Dhāraṇī that previously studies mistakenly indentiride as the Dhāraṇī of Twelve Heavens (十二天曼茶羅) or the Mantra of Three Bodies (三身眞言) in previous studies and explained the principle by which the letter Ah (, 阿) in the seed syllable of Vairocana Buddha was used at the center of Mantra of the Precious Casket Seal of the Complete-Body Relics of All Tathagatas. The study also found an example of conveying a recitation norm for mantras in the perimeter of the dhāraṇī, identifying the norm of mantra recitation practiced during the Koryo period.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11 kinds of mantras in “Zhenyan wujincang zhenyan deng shu dao zhenyan zi lun” (眞言無盡藏眞言等數道眞言字輪) and found out the wishes and orientations of people in those days based on the examples of a dhāraṇī being mixed with several mantr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