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용하고 아름다우며 의미 있는 디자인 : 존 헤스켓의 유용성과 유의성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Useful, Beautiful, and Meaningful Design: Starting from John Heskett’s Notions of Utility and Significanc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08
11P 미리보기
유용하고 아름다우며 의미 있는 디자인 : 존 헤스켓의 유용성과 유의성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1권 / 3호 / 219 ~ 229페이지
    · 저자명 : 오세헌

    초록

    연구배경 디자인에 있어서 유용성과 유의성은 오늘날의 디자인이 보여주는 다양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근본 원리로 존 헤스켓이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 유용성이 사용상의 적절성을 정의하는 개념으로 효율이나 합리성과 관련이 있다면, 유의성은 디자인 결과물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표현이나 가치와 관련되어 있다. 헤스켓은 또한 디자인 분야에서 유의성이 대두되기 시작한 것을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등장과 연결 지어 설명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헤스켓의 유용성과 유의성 개념을 출발점으로 하여 추가적인 참고문헌들을 통해 디자인에 있어서 유용성, 유의성과 관련되는 이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모더니즘 디자인과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의 특징을 유용성과 유의성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또한 헤스켓이 유의성에 포함시켜 다루었던 심미성의 개념을 분리하여 관련된 디자인 이슈들을 별도의 장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헤스켓의 유용성과 유의성이 다양한 가치를 표방하고 있는 오늘날의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키워드로 매우 유용한 개념이기는 하지만, 사용이라는 개념과 명확히 연결되는 유용성에 비해 유의성은 그 의미가 상대적으로 모호하고 지나치게 포괄적이다. 특히 심미성이 유의성에 포함되어 설명되면서 사용의 적절성에 부합하는 유용성 관점에서의 심미성이 배제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미성의 개념을 유용성, 유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세 번째 핵심 키워드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오늘날의 다양한 디자인 현상들을 이해하기위한, 그리고 디자인이 제공하는 가장 근본적인 가치를 설명하는 세 가지 핵심적인 키워드로 유용성, 유의성과 심미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 세 가지 개념들을 통해 공학이나 예술과 같은 인접 분야와 디자인의 차이점을 설명하였으며, 그 세 가지 핵심 가치들 간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Utility and significance in design are the two concepts that John Heskett proposed as fundamental principles for explaining the various features of today’s design. Utility i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suitability for the use of design outcomes in terms of its efficiency and rationality, and significance is a concept to explain meaningful aspects of design outcomes such as expression or value. Heskett also described the rise of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design in relation to the emergence of postmodernist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I use Heskett's discussion of utility and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and then take a closer look at the design topics related to utility and significance through additional reference materials, after which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t and postmodernist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utility and significance. In addition, I separated aesthetics, which was a subordinate element of significance according to Heskett, as the third essential keyword to understand and explain design, and reviewed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aesthetic aspects of design.
    Results Although Heskett’s utility and significance are very useful concepts as keywords to understand today’s design that claims to advocate diverse values, his significance is relatively obscure and overly comprehensive in contrast to utility, which is clearly linked to the concept of use. In particular, according to Heskett, aesthetics is a subordinate element of significance and, as a result, aesthetic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utility are excluded. Hence, I separated aesthetics as the third essential keyword to understand and explain design, and reviewed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aesthetic aspects of design.
    Conclusions Utility, significance and aesthetics have been presented as three keywords to understand the various design phenomena of today and to explain the most fundamental values that design provides. In addition, through the three concepts, I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and adjacent fields such as engineering and art, and attempted to expla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nce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