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초기 도시가족 구성에서 보이는 여성의 존재와 경계 -光武 7년 漢城府 戶籍에 기재된 여성호주를 중심으로- (Existence and Boundary of Women Manifested in Urban Family Composition of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Female Heads of Households Indicated on Hanseong-bu Family Census Register in the 7th Gwangm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08
28P 미리보기
근대 초기 도시가족 구성에서 보이는 여성의 존재와 경계 -光武 7년 漢城府 戶籍에 기재된 여성호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50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진

    초록

    본 연구는 光武 7년(1903) 漢城府 호적에 존재하였던 여성호주를 주목하였다. 여성호주는 유교적 가부장제와 宗法的 가족 질서 속에서 남성을 대신하여 가장으로 나타났기에, 가족 내 남성과 여성의 고정적인 역할과 관련하여 그 경계에 존재하고 있었다. 이에 여성호주의 내용과 특징 분석을 통해서, 근대 초기 도시가족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역할과 성격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광무 7년 한성부 호적에 기재된 176명 여성호주를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 정보와 가족 내용을 활용하고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당시 여성호주는 가장 역할을 담당했던 실제적 주체로 이해 할 수 있었으며, 여성호주 가족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은 그들의 가족을 지속 가능케 했던 결과로 나타났다.
    여성호주는 성내․외의 지역적인 차이에 따라서 그들의 거주양상과 성격 등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들은 남편 사망으로 인한 일시적인 존재에서 벗어나, 경제적 능력 혹은 직업을 갖고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가장으로 역할 했을 가능성도 갖고 있었다.
    또한 여성호주 가족은 단순히 남성의 부재와 존재에 의해서만 발생․해체되는 가족 형태가 아니라, 당시 새로운 호적법 아래서 거주지별 특성 그리고 가족구성원의 인적변동 등 다양한 상황에 맞춰, 원래의 戶를 유지․지속하려던 과정에서 나타나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176 female heads of households indicated on the Hanseong-bu family census register in the 7th Gwangmu year(1903). At that time, female heads of households substituted the male heads of households prevalent under the Confucian patriarchal system and clan rule-based family order system, and existed in the boundary between stereotyped roles of men and those of women in families.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female head of households and roles of women in the urban families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ose female heads of households.
    To obtain such objectives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family circumstances of the 176 female heads of households indicated on the Hanseong-bu family census register in 190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heads of households then took the practical roles as heads of families and that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amilies led by female heads of households enabled those families to continue to exist.
    The female heads of households exhibited disparat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sidence, depending on regional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Hangseong-bu. They had occupations and participated in production activities or could use their financial ability to protect their family members, thus playing the role of heads of families, beyond the temporary role arising from absence of men.
    Moreover, the families led by female heads of households were not merely the type of families that came into existence or disappeared due to presence or absence of men. The female heads of households attempted to preserve and maintain their original families based on formation of new family relationship accommodating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family characteristics, personal changes in family members, relocation of residence, etc., under the new family census register laws of that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