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중국 조선족문학의 집단정체성과 문화적응 양상- 민족경계의 분화와 변천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Identity and Acculturation Patterns in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the 20th Century: With a focus on the differentiation and change of ethnic boundari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8.11
22P 미리보기
20세기 중국 조선족문학의 집단정체성과 문화적응 양상- 민족경계의 분화와 변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7권 / 4호 / 5 ~ 26페이지
    · 저자명 : 나소정

    초록

    본고는 20세기 전반에 걸쳐 독자적인 단위의 문화공동체를 형성하고 역동적인 변천의 과정을 겪어온 중국 조선족의 문학에 나타난 집단정체성의 구성적 성격과 문화적응의 제 양상에 주목하여, 이주 초기 재만조선인문학으로부터 20세기 후반 개혁개방기에이르는 조선족문학에서의 민족경계의 분화와 변천 과정에 관한 담론들을 분석한 것이다. 이주 초기 재만조선인문학은 조선과 중국 ‘사이’에서 마이너리티로 외면당한 이민자집단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있어서 국가나 국경, 국토와 분리된 ‘북향의식’을 보여주며, 중화인민공화국에 ‘소속’된 이후 시기 조선족문학계는 조국과 모국, 국적과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에서 오는 이중정체성 문제를 중심적으로 다룸으로써 중국 내 소수민족으로서의 정치적 자각과 이에 따른 민족경계의 분화를 전경화하고 있다. 개혁개방기 이후 조선족문학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거주국에서의 문화적응 문제이며 민족문학의 혈통을 지켜나가는 것과 동시에 접본과 융합을 지향하고자 하는 배경의 핵심에는 민족공동체에서 문화공동체로 새롭게 구성되어가는 중국 조선족의 집단정체성 문제가 있음을 본고는 밝히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국조선족에 있어 민족이라는 집단정체성에 대한 이해는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 문화공동체로 자리매김해 온 내력과 그에 따라 축적된 문화요소들을 토대로 그들이 가져온 역사와 문화, 인문학적 전통과 그 맥락에 대한 통찰을 요구하는 동시에 모국 및 거주국의 상이한 민족개념을 상호조명하는 특수한 문화적 공론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은 한민족 공동체문화의 다양한 변이태들과 그 수평적 분포를 조망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서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에서 한민족문화공동체 간의상호작용과 유대, 혹은 분절의 양상이 종합적으로 규명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Discussions about Korean Diaspora with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usually put an emphasis on the sharing of collective memories about the mother country, maintenance of the identity of the unique national culture, and efforts for it. It is characterized by its concentration on patterns related to the historical separ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tructive nature of collective identity and overall patterns of acculturation in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formed a dynamic cultural community throughout the form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underwent a process of changes. It set out to analyze discourses about the differentiation of ethnic boundaries and changing processes from the literature of Joseon people in the early days of their immigration to the literatur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during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in the latter part of the 20th century. The understanding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or their collective identity as a people requires an insight into their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 and context of humanities they brought based on their history of settling down as a minority cultural community in China and on their accumulated cultural elements, as well as a unique venue for public cultural opinion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t concepts of people between the mother country and the current resident nation. This approach is a preceding task to investigate the diverse variations of the community culture among the Korean people and their horizontal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ond or segmentation patterns of different cultural communities of the Korean people in a synthetic manner on the extension of this ta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