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퉁구스어족의 부동사어미 *-mi와 *-rAki- (Converbal endings *-mi and *-rAki- in Tungusic from the perspective of areal linguistic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6.11
29P 미리보기
지역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퉁구스어족의 부동사어미 *-mi와 *-rAki-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73호 / 31 ~ 59페이지
    · 저자명 : 백상엽

    초록

    퉁구스어족은 러시아의 동시베리아와 극동지역, 중국의 동북지방과 신장·위구르자치구 등에 걸쳐 분포하는 언어이다. 퉁구스어족은 대략 11개의 하위언어로 구성되며 지역적 분포에 따라 크게 북퉁구스어 (어웡키어, 어원어, 네기달어), 동퉁구스어 (울치어, 나나이어, 오로치어, 윌타어, 우디허어), 남퉁구스어 (솔론어, 허저어, 만주어)의 3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퉁구스어족의 부동사어미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는 *-mi와 *-rAki-를 대상으로 퉁구스어 간의 문법적 차이를 지역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인칭표시, 수표시, 보조동사, 발화동사의 문법화, 지시전환 (조건문), 주제·대비표지의 범언어적 유형론을 기반으로 하는 6가지 형태·통사적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고찰 결과, 퉁구스어족의 부동사어미 *-mi와 *-rAki-에 나타나는 문법적 차이가 만주어를 중심으로 하는 남퉁구스어에 가장 현저하게 관찰되며, 이는 주변언어인 몽골어의 미완료부동사어미와 조건부동사어미의 특징과 거의 대부분에 걸쳐 일치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 만주어의 -me와 -či는 몽골어의 두 부동사어미의 문법적 특징과 가장 큰 유사성을 보이는데, 이는 만주어가 남퉁구스어 중에서도 몽골어로부터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Tungusic language family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1 languages is distributed in East Siberia, Russian Far East, Northern Chinese Province, and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From the geographical point of view, Tungusic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th Tungusic (Evenki, Even, and Negidal), East Tungusic (Ulcha, Nanay, Orochi, Uilta, and Udihe), and South Tungusic (Solon, Hezhen, and Manchu). Due to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Tungusic is known to have had or be possibly in contact with a variety of neighboring languages such as Russian, Sakha, Mongolic, and Chinese.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grammatical variations of two converbal forms *-mi and *-rAki- among Tungusic from the perspective of areal linguistics. “Areal linguistics” is a field of linguistics aiming to analyze linguistic distinctions within a language family in relationship with its contiguous languages from the language contact standpoint.
    In this study, six typological morpho-syntactic parameters of converbs—person marking, number marking, auxiliary verb structure, grammaticalization of speech verbs, switch-reference in conditionals, topic or contrastive function—are employed to clarify morpho-syntactic differences of the two converbal endings in comparison with semantically corresponding imperfective and conditional converbs in the adjacent Kolima Yukaghir, Sakha, and Mongolian languages.
    In conclusion, the grammatical peculiarities of the *-mi and *-rAki- among Tungusic are prominently verified in South Tungusic languages (Solon, Hezhen, and Manchu) on the Chinese side and most of these phenomena are strikingly consistent with those of imperfective and conditional converbal forms in Mongolian. Among South Tungusic, the -me and -či in Manchu are proved to bear most similarities to those of Mongolian and this may reflect that Manchu is a Tungusic language mostly influenced from Mongoli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후